저 아름다운 풍경 다시 볼 수 있을까

저 아름다운 풍경 다시 볼 수 있을까

입력 2012-01-07 00:00
수정 2012-01-0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베르트랑 ‘하늘에서 본 지구’展

전시 제목은 ‘하늘에서 본 지구’. 그 뒤 따라붙은 영문 제목이 더 눈길을 끈다. ‘It´s my home’. 저게 남의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이란 얘기다.

이미지 확대
보의 하트 무늬(뉴칼레도니아, 프랑스)
보의 하트 무늬(뉴칼레도니아, 프랑스)


이미지 확대
인삼밭과 논밭이 그려놓은 3색의 추상화(강원도 양구군)
인삼밭과 논밭이 그려놓은 3색의 추상화(강원도 양구군)
●헬기타고 150여개국 돌며 촬영

3월 15일까지 서울 중구 서소문동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65)의 개인전이다. 베르트랑은 바로 그 우리 집의 구석구석을 찍기 위해 헬기를 타고 때론 수십m, 때론 수천m 상공을 오르내린 항공사진작가다. 해서 그의 작품에는 ‘신의 눈’이라는 이름이 따라다닌다. 20여년 동안 150여 개국을 돌아다니면서 찍은 작품 가운데 220여점을 추려냈다. 영상 편집본도 함께 전시됐다. 한국 사진도 있다. 2004년부터 4년 동안 비무장지대, 동해, 독도, 남해안을 다니면서 사진을 찍었다. 모두 30여점이다.

베르트랑은 원래 영화배우였다. 부인이 사자에 대한 논문을 쓰기 위해 아프리카를 방문하는데 따라나섰다가 삶이 바뀌었다. 재미삼아 사자의 생태를 찍다 아예 사진작가로 전향했다. 이 아름다운 자연과 지구 그 자체를 기록해 보는 데 도전해 보고 싶었다. 작가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손댔던 열기구 운전에서 힌트를 얻었다. 유네스코 후원을 얻어 1994년 ‘하늘에서 본 지구’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2000년부터 그 결과물을 전시했다. 전세계 1억 5000만명 이상의 관람객을 끌어모았다.

단지 작품에 그치지 않았다. 비영리 환경예술재단 굿플래닛을 만들었고, 경이로운 생명의 탄생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작가들의 작품을 모아 ‘생명들’ 전시를 진행했다. 이 전시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작품들은 동물 사진들이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말, 소, 돼지, 양 같은 가축들을 찍어둔 것. 우리 집에 우리만이 아니라 다른 이들도 살고 있다는 얘기다. 이런 활동 덕분에 프랑스 일간지 르몽드가 선정한 ‘지구를 구한 10인’ 가운데 1명으로, 또 레종 도뇌르 훈장 수여자로 결정되기도 했다.

●환경파괴 몸살 지구촌에 경고 메시지

작품 감상시 눈여겨볼 부분. 그의 항공사진에는 위도와 경도가 정확히 표기되어 있다. 환경파괴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생각해 ‘지금 저 아름다운 곳을 나중에 우리가 다시 찾아볼 수 있다는 보장이 있나요.’라는 질문이다. 6000~1만원. (02)2124-880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김용일 서울시의원, ‘버스킹인서울’ 출연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2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DDP 쇼룸에서 열린 지역방송 HCN의 ‘버스킹인서울’ 음악 토크 콘서트에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의원 자격으로 출연했다고 밝혔다. ‘버스킹인 서울’은 서울시의회와 시민이 음악과 토크를 통해 소통하는 공개 콘서트 형식의 방송 프로그램으로, 시민의 삶과 밀접한 정책들을 쉽고 친근하게 소개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날 행사는 MC 김일중 아나운서의 진행 아래 이민옥 부위원장, 홍국표, 소영철 의원 등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함께했다. 블루진 밴드와 가수 현서가 멋진 공연을 선보이며 다채로운 분위기를 더했다. 이날 행사에서 코로나19 이후 소상공인 지원 정책에 대한 질문에 김 의원은 서울시가 소상공인 경영위기 극복 및 역량 강화 지원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고, 중소기업육성기금을 통한 직접 융자, 시중은행 협력자금 이자차액 보전, 마이너스 통장 방식의 안심통장 등 다양한 자금 공급 형태와 창업, 성장, 재도전 등 소상공인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종합 지원 정책을 소개했다. 또한 서부선 경전철 추진 방안에 관한 질문에는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버스킹인서울’ 출연

2012-01-0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