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옥향 명창 수궁가 완창…26일 남산국악당 네번째 발표회

정옥향 명창 수궁가 완창…26일 남산국악당 네번째 발표회

입력 2011-11-21 00:00
수정 2011-11-21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판소리 완창은 한자리에서 내리 5~6시간 불러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수련과 공력을 필요로 한다. 득음의 경지가 아니면 도전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수궁가 준보유자인 정옥향 명창이 오는 26일 서울 남산국악당에서 네 번째 완창 발표회를 갖는다.
이미지 확대
명창 정옥향
명창 정옥향


“가을 끝자락 남산골에서 완창 무대를 갖게 돼 기대가 큽니다. 스승인 양암의 ‘수궁가’는 그 자체로 보존 육성돼야 할 고귀한 문화유산입니다. 판소리에는 인간의 희로애락과 윤리 도덕이 다 들어 있어요. 그렇기에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됐지요.”

정 명창은 양암(亮菴) 정광수(1909~2003)의 ‘수궁가’ 계보를 잇고 있다. 양암의 ‘수궁가’는 유성준(1874~1949) 선생에게서 시작된 고제(古制) ‘수궁가’의 정통성을 이어받은 소리로 알려져 있다. 기품 있는 발림과 뛰어난 단전성음, 휘감아 돌아가는 자진모리의 흐드러진 장단이 압권으로 평가된다. 정 명창은 이러한 양암의 ‘수궁가’를 깔끔하게 완창해내 이목을 끌었다. 이번 무대에서는 최종민 동국대 교수가 해설을 맡고 정화영·신규식씨가 고수로 함께한다.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1-11-2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