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예술의전당 아티스트다

나는 예술의전당 아티스트다

입력 2011-04-06 00:00
업데이트 2011-04-06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4대1 오디션 경쟁 통과한 피아니스트 등 7명

서른 안팎의 젊은 연주자가 예술의전당에서 리사이틀(독주회)을 갖기란 쉽지 않다. 실력은 기본이고, 여기에 ‘옵션’을 더해야 한다. 국제콩쿠르 수상경력이나 최상위 오케스트라와 협연 등으로 인지도를 쌓아 올리지 않으면 언감생심이다.

이미지 확대


8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 바이올리니스트 한경진의 독주회로 막을 여는 ‘2011 예술의전당 아티스트시리즈’를 주목해야 하는 까닭이다. 이 공연의 주인공은 피아니스트 선수정(5월 13일) 이윤수(6월 10일) 홍인경(9월 9일) 송유진(11월 11일), 바이올리니스트 한경진과 비올리스트 강윤지(10월 7일), 바수니스트 이지현(12월 17일) 등 7명이다.

모두 지난해 12월 ‘예술의전당 아티스트 오디션’에서 9.4대1의 경쟁을 뚫은 생존자들이다. 100만명 이상 몰린다는 방송사의 오디션프로그램과 경쟁률을 단순 비교하는 건 곤란하다. 오디션의 자격제한은 만 25~35세가 전부. 하지만 예원학교·서울예고 등 엘리트코스를 거쳐 미국과 독일 등에서 유학을 한 경우가 상당수였다.

예술의전당이 처음 ‘아티스트 오디션’ 카드를 꺼낸 것은 지난 2009년. 국제콩쿠르에서 화려하게 데뷔하지 못했더라도 음악계의 대들보로 자랄 잠재력이 있는 미래의 거장을 키워 보자는 취지였다.

정동혁 예술의전당 사업본부장은 “2005년부터 교향악축제 협연자 일부를 오디션으로 뽑았는데, 솔리스트를 선발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면서 “오디션을 통과하면 리사이틀 기회는 물론 ‘11시 콘서트’ 등 출연기회를 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예술의전당에서 검증받았다는 건 연주자 커리어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디션은 사전에 제출한 가상 리사이틀 프로그램 중 특정 곡, 특정 악장을 심사위원들의 지시에 따라 연주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방송사 오디션프로그램의 ‘미션’ 수행을 떠올리면 된다. 실력이 막상막하라 심사위원들도 애를 먹었다. 피아노의 경우 두명의 지원자가 거듭 동점이 나왔다. 재투표로도 우열을 가리지 못해 둘 모두 리사이틀 기회를 줬다. 합격자가 여성 일색인 것은 지원자의 70%에 이를 만큼 많았던 데다 실력도 뛰어났기 때문이다.

정 본부장은 “2009년 보다 지난해 오디션의 지망자 수준이 더 높아졌다.”면서 “이번에 첼로 합격자를 내지 않은 것처럼 앞으로도 악기별 안배와 무관하게 철저히 실력만으로 뽑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04-06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