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치는 파오차이의 파생형”…갑툭튀 日언론

“김치는 파오차이의 파생형”…갑툭튀 日언론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1-27 14:11
업데이트 2021-01-27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뉴욕타임즈(NYT)에 ‘한국의 김치, 세계인을 위한 것’이라는 제목의 김치 광고가 게재됐다. 서경덕 교수 제공
뉴욕타임즈(NYT)에 ‘한국의 김치, 세계인을 위한 것’이라는 제목의 김치 광고가 게재됐다.
서경덕 교수 제공
日언론 “한국 김치는 中파오차이의 파생형”
중국에 이어 일본까지 ‘김치 역사 왜곡’
日 ‘노노재팬’ 다시 불붙나


한국 전통 음식인 김치의 기원을 둘러싸고 한중간 논쟁이 일고 있는 가운데 김치는 중국 입장에서 파오차이(절임채소)의 파생형이라는 일본 언론 주장까지 나왔다. 김치 역사를 왜곡하는 중국 등 다른 나라도 문제지만 일본이 이제는 김치까지 건드렸다는 점에서 국민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27일 일본 온라인 시사 경제지 재팬비즈니스프레스(JBPress)에 따르면 ‘한중 김치 기원 논란으로 엿보는 한국의 반론 문화’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김치는 파오차이의 파생형”이라는 주장을 폈다.

이 매체는 “중국이 국제표준화기구(ISO)로부터 인증을 받은 ‘파오차이’는 ‘소금에 절인 야채’라는 뜻이지만, ‘고려사’에 기술된 한국 최초의 김치는 제사의 제물인 ‘침채(沈菜)’로 절인 야채, 마늘, 생강을 넣고 만들어진 것”이라며 “파오차이와 김치의 원조인 침채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 각 국가에서 각각의 풍토와 민족성, 생활 습관에 따라 조금씩 변화 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또 한국 농수산식품유통공사를 인용해 “2020년 8~12월 한국의 김치 수입량은 28만 1000t으로 수출량의 약 7배에 달한다”며 “한국은 저렴한 중국산 김치 없이는 식생활을 유지할 수 없다”고 주장해 논란을 샀다.
반크가 제작한 김치 홍보 포스터.  반크 제공
반크가 제작한 김치 홍보 포스터.
반크 제공
지난해 11월, 중국의 김치 기원 논쟁 시작
한국과 중국의 김치 기원 논쟁은 지난해 11월 중국 쓰촨 지방의 염장 채소인 ‘파오차이’가 국제표준화기구(ISO) 인증을 받은 것을 두고 중국 공산당 기관지 ‘환구시보’는 ‘김치 종주국의 굴욕’이라고 보도하면서 시작됐다.

이와 관련 지난 20일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나는 식품 문제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지만, 내가 보기에는 파오차이는 소금 등에 절인 발효식품의 일종으로 일부 소수의 몇 개 나라와 지역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이어 화 대변인은 사실상 김치와 파오차이가 같다고 했다. 그는 “중국에는 이를 ‘파오차이’라고 부르고, 한반도와 중국의 조선족은 ‘김치’라고 부른다. 이런 것들은 서로 통하는 부분도 있지만 재료나 맛, 요리법 등은 각자의 장점을 갖고 있다”고 역설한 바 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