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FP 연합뉴스 노르웨이 국립미술관 제공
128년 만에 풀린 뭉크 ‘절규’ 속 미스터리… “미친 사람만 그릴 수 있다”
1893년 작품인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에 연필로 거의 안 보일 정도로 작게 적힌 ‘미친 사람에 의해서만 그려질 수 있는’이란 글귀를 뭉크 자신이 썼다는 결론이 나왔다. ‘절규’를 첫 전시했던 1895년 독특한 화풍에 대해 혹평이 쏟아진 터라 화가 난 관람객이 쓴 낙서라는 추측도 있었지만, 노르웨이 국립미술관은 22일(현지시간) 뭉크의 필적과 그림 공개 당시 사건을 조사해 뭉크가 직접 쓴 글이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은 조사팀이 적외선 스캐너를 이용해 그림을 분석하는 장면.
AFP 연합뉴스 노르웨이 국립미술관 제공
AFP 연합뉴스 노르웨이 국립미술관 제공

AFP 연합뉴스 노르웨이 국립미술관 제공
128년 만에 풀린 뭉크 ‘절규’ 속 미스터리… “미친 사람만 그릴 수 있다”
1893년 작품인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에 연필로 거의 안 보일 정도로 작게 적힌 ‘미친 사람에 의해서만 그려질 수 있는’이란 글귀를 뭉크 자신이 썼다는 결론이 나왔다. ‘절규’를 첫 전시했던 1895년 독특한 화풍에 대해 혹평이 쏟아진 터라 화가 난 관람객이 쓴 낙서라는 추측도 있었지만, 노르웨이 국립미술관은 22일(현지시간) 뭉크의 필적과 그림 공개 당시 사건을 조사해 뭉크가 직접 쓴 글이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은 ‘절규’ 속에 새겨진 글귀를 확대한 모습.
AFP 연합뉴스 노르웨이 국립미술관 제공
AFP 연합뉴스 노르웨이 국립미술관 제공
AFP 연합뉴스 노르웨이 국립미술관 제공
2021-02-2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