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서 연주하려면 통관 증서 받아야
정부에 협상 재개·음악산업 지원 요구

엘튼 존
세계적인 뮤지션 엘턴 존이 영국의 브렉시트(유럽연합 탈퇴)로 많은 음악인이 유럽 공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의 협상 재개를 요구했다. 존은 7일(현지시간) 가디언의 기고문에서 “브렉시트가 영국의 젊은 음악가와 더 넓은 음악 산업을 망쳤다(screwed up)”고 강하게 비난했다.
그는 과거 독일, 프랑스 등 유럽에서 자유롭게 연주하던 때를 회상하며 자신이 지금 막 시작한 가수나 밴드라면 이런 기회를 얻을 수 없을 거라고 했다. 그는 “브렉시트의 결과로 앞으로 유럽에서 연주하고 싶은 영국 예술가는 각 나라마다 비자, 취업 허가서와 장비에 대한 카르네(통관 증서)를 따로 받아야 한다”며 “이 ‘행정적인 악몽’은 유럽 투어 공연에 대한 막대한 비용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존은 문화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나의 문화와 다른 문화의,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군중에게 음악을 전달하는 과정은 더 나은 뮤지션이 되게 한다”며 “유럽을 여행하는 것은 다른 영향을 흡수하고, 새로운 음악가를 만날 수 있게 해 준다”고 했다.
그러면서 브렉시트로 사라진 영국 예술가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음악은 2019년 총 58억 파운드의 수익을 창출할 정도로 영국에서 큰 문화 수출품인데 이들에 대한 도움은 없다”며 “음악 산업을 위한 독립적인 지원 기구를 만들고, 인프라 없는 아티스트가 혜택을 보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존은 지난 몇 년간 계속 브렉시트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높여 왔다. 2019년 콘서트에서 “나는 유럽인이다. 멍청하고 식민지적이고 제국주의적인 영국 바보가 아니다”라고 했고, 지난달에는 예술인 100여명과 함께 일간 더타임스에 서한을 게재해 음악인의 무비자 여행을 허용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이 서한에는 가수 에드 시런, 스팅, 록그룹 라디오헤드, 베를린필의 음악감독을 지낸 사이먼 래틀 등이 이름을 올렸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21-02-0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