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아마존도 ‘다국적 기업 저승사자’에 벌벌

구글·아마존도 ‘다국적 기업 저승사자’에 벌벌

입력 2016-09-01 22:52
수정 2016-09-02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베스타게르 EU 집행위원

덴마크 부총리 출신 ‘여전사’… 애플에 세금폭탄도 최선봉

애플에 천문학적인 세금 폭탄을 안긴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48) 유럽연합(EU) 경쟁담당 집행위원이 ‘다국적 기업의 저승사자’로 떠올랐다. EU 집행위원회(EC)가 유럽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에 대한 반독점 칼날을 겨눌 때마다 그가 최선봉에 선 까닭이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애플에 대한 세금 추징을 발표한 자리에서도 베스타게르 위원은 “애플에 대한 아일랜드의 결정은 지난 20년간 EU의 규정을 위반해 애플의 세금 부담을 인위적으로 줄인 것”이라며 “애플은 그 혜택을 토해 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고 BBC 등이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유럽연합(EU) 경쟁담당 집행위원 EPA 연합뉴스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유럽연합(EU) 경쟁담당 집행위원
EPA 연합뉴스
이에 따라 베스타게르는 정보기술(IT) 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럽인이자 여성으로 꼽히고 있다. 지금까지 구글과 아마존. 스타벅스 등 유럽에 진출한 미국 기업은 물론 가스프롬, 피아트 등 다국적 기업에 대한 조세회피 의혹과 시장독점과 관련한 강도 높은 조사를 총지휘했다. 2014년 EC에 합류해 EU 관내 공정 경쟁을 총괄해 온 그는 “정부가 자신의 몫을 지불하지 않는 기업을 내버려두는 것은 그 기업에 돈을 쥐여 주는 것과 같다”면서 다국적 기업의 세금 회피에 대해 강경한 자세로 일관해 왔다. 지난해 EU가 구글과 러시아 에너지기업 가스프롬을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잇따라 제소하는 데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구글은 자사 쇼핑 서비스에 유리하도록 웹 검색 결과를 왜곡했고 가스프롬은 중부와 동부 유럽에서 독점적 지위를 남용했다는 혐의를 적용했다.

덴마크 글로스트루프에서 태어난 베스타게르는 코펜하겐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으며 21세 때 중도정당인 사회자유당 간부로 정계에 입문했다. 2001년 의회에 진출한 뒤 2007년 사회자유당 대표에 선출됐다. 2011년 헬레 토르닝슈미트 총리와 중도좌파 연정을 구성해 부총리 겸 경제·내무 장관에 올랐다.

하지만 미 기업을 주요 타깃으로 삼는 그의 칼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미 재무부가 애플을 겨냥한 EC의 움직임에 보복조치를 시사한 데다 막대한 추징금 부과로 유럽에 진출한 기업들의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성내초 증축·동북중·고 교육여건 개선 시급”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8일 개최된 서울시교육청-국민의힘 정책협의회에서 AIDT(교육자료) 전환 대책, 노후 교사동 안전관리, 학교업무 경감 방안과 함께 성내초등학교 증축 및 환경개선, 동북중·동북고 교육여건 개선 등 지역 현안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AIDT 전환, 학생 학습권 보호가 최우선 김 의원은 초·중등교육법 개정으로 AIDT의 법적 지위가 ‘교과서’에서 ‘교육자료’로 전환된 상황과 관련해 “학교 현장에서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한 후속 조치와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학생 학습권이 흔들리지 않도록 교육청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후 교사동 안전, 사전 예방 관리체계 강화해야 이어 김 의원은 노후 교사동 안전관리 종합대책과 관련해 “이미 서울의 35%가 4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인데, 학생 안전은 결코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C등급을 세분화하고 IoT 기반 실시간 감시체계를 도입하는 등 선제적 관리로 개학 연기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내초 증축·급식환경 개선, 학생 건강권 보장해야 특히 김 의원은 강동구 성내초등학교 증축안과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성내초 증축·동북중·고 교육여건 개선 시급”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6-09-0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