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1만 고지’ 탈환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1만 고지’ 탈환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6-23 14:25
수정 2020-06-23 14: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22일(현지시간) 코로나19 2차 유행이라는 우려를 뚫고 사상 최고치를 탈환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나스닥지수는 110.35포인트(1.11%) 오른 1만 56.47에 거래를 마쳤다. 마감가 기준으로 나스닥지수가 1만 선에 안착한 것은 지난 10일 1만 20.35를 찍은 이후 두 번째다. 이날 상승장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초대형 정보기술(IT) 종목들의 선전이 증시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애플은 이날 세계개발자콘퍼런스(WWDC)에서 앞으로 맥 컴퓨터에 자체 개발 칩을 장착해 15년에 걸친 인텔 의존에서 벗어나겠다고 선언했다. 이 소식은 인텔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 비용 절감으로 이어지고 이미 독자적인 칩을 사용하고 있는 아이폰, 아이패드 등 다른 기기와의 호환성이 높아지며 ‘애플 생태계’가 한층 더 완성됐다는 기대감으로 애플 주가는 2.6% 오른 358.87달러로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MS와 넷플릭스 역시 각각 2.78%, 3.16% 상승하며 200.57달러, 468.04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알파벳은 1.83%, 페이스북은 0.18% 상승했다.

이날 대형 블루칩 중심으로 구성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153.50포인트(0.59%) 상승한 2만 6024.96에, 뉴욕증시 전반을 반영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0.12포인트(0.65%) 오른 3117.86에 각각 마감했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면서 장 막판에 ‘팔자’세가 들어와 상승분을 일부 반납하기도 했다. 시장분석업체 바이탈널리지의 아담 크리사풀리 창업자는 “주식 전반에 대한 하방 압력이 강해지고 있다”며 “정부는 경제 활동 재개를 밀어붙일 것으로 보이지만, 경제회복의 실질적인 동인은 사람들이 얼마나 ‘정상’으로 돌아가느냐다. 코로나19에 대한 부정적인 뉴스는 계속 시장을 압박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