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제네바 대사 “공평하게 美 실험실도 조사해야”
中 “美 포트 데트릭·노스캐롤라이나대 실험실 조사해야”美 정보당국 ‘中 코로나19 기원설’ 조사 끝나자 공세

지난 21일 오후 중국 후베이성 우한(武漢)시의 화난(華南)수산물도매시장 입구에서 흰 방역복을 입은 중국 보건 당국 관계자들이 분주히 오가고 있다. 2020.1.27 연합뉴스
환구시보는 천쉬 제네바 주재 중국 대표부 대사가 지난 24일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실험실 바이러스 누출 가능성을 여전히 배제하지 못한다면 공평과 공정의 원칙에 따라 미군 기지 포트 데트릭의 실험실에 대한 조사도 벌여야 한다”고 말했다고 26일 보도했다. 천 대사는 포트 데트릭 외에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실험실도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中, 美 연구실 코로나19 기원설 조사 요구 처음” 중국이 외교 채널을 통해 포트 데트릭과 노스캐롤라이나대에 대한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정식으로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환구시보는 전했다. 심지어 천 대사는 WHO에 중국 네티즌 2500만명이 참여한 포트 데트릭 실험실 조사 청원도 함께 보냈다.
그는 미국 정보당국이 3개월 동안 진행한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마무리하자 곧바로 WHO에 미 데트릭 기지 실험실 조사를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UPI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UPI 연합뉴스
UPI 연합뉴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코로나19의 구체적 기원을 단정하기 어렵다는 취지의 정보당국 조사 결과를 공식적으로 보고받았다고 워싱턴포스트 등이 보도했다.
이에 대해 천 대사는 서한에서 “우한바이러스연구소의 바이러스 유출로 코로나19가 인간에 전파됐다는 가설은 매우 가능성이 작다”는 중국의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中 외교부, 美 육군 연구소에 “생물무기 개발” 공세전날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중국이 WHO에 보낸 서한을 언급하며 포트 데트릭의 미 육군 전염병 연구소는 미국 생물 무기 프로그램의 중심이었으며 2019년 안전사고로 폐쇄된 뒤 미국 내에서 코로나19와 증세가 비슷한 병이 생겼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중국은 미 노스캐롤라이나대 실험실에서도 2015년 8월 이후 6건 이상의 바이러스 유출 사고가 있었다며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리하이둥 중국 외교학원 국제관계연구소 교수는 미국 정보기관의 보고서와 관련 “바이든 정부는 실망하겠지만 이 문제로 중국에 책임을 떠넘기는 일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미국은 코로나19 기원 문제를 중국을 압박하는 전략적 도구로 계속 사용할 것이며 향후 중미 양국은 이 문제로 여전히 씨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왕이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2019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2019. 12.4 서울신문DB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전날 에티오피아 외무장관과의 통화에서 미 정보기관이 코로나19 기원 보고서를 꾸며내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미국이 국내 방역 실패의 책임을 전가하며 중국을 비방하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제사회가 바이러스 기원 조사를 정치화하는 계략에 분명히 반대하고 국제적인 방역 협력을 지켜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