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난성 떠돌던 아시아코끼리들 17개월 여정 살펴보니

윈난성 떠돌던 아시아코끼리들 17개월 여정 살펴보니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8-16 15:18
수정 2021-08-16 15: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윈난성 보호구역의 숲을 떠나 17개월 동안 수백㎞를 헤매 돌아다닌 아시아코끼리 무리가 드디어 방향을 틀어 고향으로 향하기 시작했다고 지난 11일 전했다.

그런데 영국 BBC는 15일(현지시간) 이동 경로 그래픽과 함께 제반 상황을 보완했다. 국내 언론 상당수가 오해한 내용이 적지 않아 바로잡는다.

윈난성 일대를 북동쪽으로 올라 쿤밍 근처까지 이르러 이런저런 민폐를 끼쳤던 14마리가 마침내 위안장 강을 건너 고향 쪽으로 발걸음을 돌린 것은 지난 8일이다. 그래픽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코끼리 무리는 직선으로는 300㎞ 정도를 구불구불 이동하느라 500㎞ 거리를 움직였고, 위안장 강에 가로놓인 다리를 건넘으로써 원래 살던 시솨방나 자연보호구역까지는 200㎞ 정도만 남겨놓았다. 이미 귀향 여정의 절반에 이르른 셈이다.

전문가들은 코끼리 무리를 따르면서 드론을 모두 973차례나 띄워 앞쪽을 살피다 이달 초 조심스럽게 방향을 틀게 했다. 인위적으로라도 방향을 틀게 하기로 한 것은 코끼리 무리가 갈짓자 행보를 보이며 아무데서나 낮잠에 빠져 드는 등 심각한 스트레스와 만성 피로에 허덕이고 있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었다.

전문가들은 전기 담장을 세우거나 인위적으로 도로 상황을 만들어내고 옥수수 같은 미끼를 써서 방향을 돌리는 데 성공한 것이다. 모두 건강하고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도 않는다고 윈난성 정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원래 소수민족인 다이족이 많이 사는 윈난성 시솽반나 자연보호구역에 살았던 이들은 지난해 3월부터 16마리의 코끼리가 장정을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다 서식지로 돌아가는 등 일상적인 먹이 활동을 하는 것처럼 보여 과학자들도 그러려니 했다.

올해 초에야 이들이 이주를 시도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게 됐다. 두 마리는 4월쯤 대열을 이탈해 원래 서식지로 돌아갔고 도중에 새끼 한 마리가 태어났다. 그리고 6월에 한 마리가 또 대열을 벗어나 헤매다 홀로 시솽반나로 돌아가고 있다.
중국 중앙(CC)TV 동영상 캡처
중국 중앙(CC)TV 동영상 캡처
이런 상황에 나머지 14마리가 지난 8일 위안장 강 다리를 건너 본격적인 귀향 여로에 오르게 만든 것이다. 코끼리들의 회귀 본능에 의한 것인지, 과학자들의 인위적인 유도에 의한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

이들이 왜 이렇게 먼거리를 이동하는지도 여전히 알 수가 없다. 경험 많은 할머니 코끼리가 세상을 떠나 미숙한 지도자를 만나 생고생한다는 억측과 서식지 여건이 도시 개발 및 화전 개간 등으로 나빠지자 새 서식지를 찾아 길에 나섰다는 억측이 엇갈린다.

이들이 그동안 끼친 민폐 액수는 100만 달러 이상으로 추정된다. 15만명 이상이 피신을 해야 했고, 이들이 사람들과 충돌하는 일을 막으려고 동원된 경찰관 수만 2만 5000명이 넘는다. 아무데나 들어가 먹어치우고 누워 잠들기 때문에 농작물과 농작지 훼손이 작지 않다.

아시아코끼리는 윈난성 남부 일대에 300마리 정도만 남아 있다. 보호구역의 코끼리들은 대체로 잘 보존되고 있지만 보호구역 밖의 개체는 당연하지만 갈수록 줄고 있다.

장문의 BBC 기사 결론은 뭘까? 이들의 귀향이 늦어지든 여부와 상관 없이 이들의 남다른 모험과 여정으로 코끼리 보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모았다는 것이라고 했다. 해서 소설 ‘반지의 제왕’의 작가 J R R 톨킨이 이들을 매우 자랑스러워 할 것이란 농으로 끝맺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