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판 우버’ 디디추싱, 끝내 당국에 철퇴…‘개인정보’ 빌미 앱 제거 명령

‘중국판 우버’ 디디추싱, 끝내 당국에 철퇴…‘개인정보’ 빌미 앱 제거 명령

김태균 기자
입력 2021-07-04 22:31
수정 2021-07-04 22: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의 차량공유 서비스, 디디추싱 사진=연합뉴스
중국의 차량공유 서비스, 디디추싱
사진=연합뉴스
중국 최대 차량공유 서비스업체인 디디추싱(디디글로벌)에 대한 당국의 제재 조치가 결국 현실화됐다.

블룸버그통신 등은 4일 중국 인터넷정보판공실(CAC)이 개인정보 수집 및 사용 규정에 대한 심각한 위반을 이유로 ‘구글 플레이’ 등 스마트폰 앱 마켓들을 상대로 디디추싱 앱을 제거하라고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이 조치는 CAC가 지난 2일 ‘중국판 우버’로 불려온 디디추싱에 대해 전격적으로 안보 관련 조사 개시를 선언한 지 이틀 만에 나온 것이다. 당시 CAC는 국가 데이터 안보의 위험 방지, 국가 안보 수호 및 공공이익 보장 등을 디디추싱에 대한 조사 이유로 밝혔다. 조사기간 중 디디추싱의 신규 이용자 모집도 중단시켰다.

디디추싱은 당국의 발표 직후 성명을 내고 “조사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며 “관련 기관의 감독과 지도하에 네트워크 보안 위험을 전면 조사하고 네트워크 보안시스템과 기술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 사용자와 도로 데이터는 모두 중국 서버에 보관하며, 데이터를 미국에 넘기는 것은 일말의 가능성도 없다”고 주장했다.

중국 당국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 차량 공유 시장의 80%를 장악하고 있는 정보기술(IT) 공룡에 대한 제재를 공식화함에 따라 시장에서는 IT 신산업에 대한 전방위 규제가 더욱 본격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디디추싱이 앞서 당국에 ‘미운털’이 박혀 어려움을 겪어온 알리바바보다 더 심각한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중국 당국에 찍혀 회장직에서 물러난지 3년만에 중국 부호 1위에서 4위로 밀려난 마윈 전 회장. AP 연합뉴스
중국 당국에 찍혀 회장직에서 물러난지 3년만에 중국 부호 1위에서 4위로 밀려난 마윈 전 회장. AP 연합뉴스
중국 및 15개 해외 시장에 진출해 있는 디디추싱은 지난달 30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했다. 디디추싱은 공모가를 14달러로 책정하며 기업공개(IPO)를 통해 약 44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

중국 당국은 최근 대형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의 수위를 점차 높여 왔다. 지난 5월에는 시장감독관리총국 등 8개 정부 기구 합동으로 디디추싱을 비롯해 음식 배달업체 메이퇀뎬핑, 트럭 공유업체 만방 등 10곳의 이동 서비스 기업에 정보독점 문제를 시정하라고 요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