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타오 배출한 ‘공청단 몰락’…쑨정차이는 부패혐의 조사 중

후진타오 배출한 ‘공청단 몰락’…쑨정차이는 부패혐의 조사 중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7-07-24 22:32
수정 2017-07-24 2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1서기, 대표 선거서 탈락 이변…“시 주석 견제 세력 사실상 사라져”

중국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제1서기가 올가을 제19차 당 대회에 참가하는 대표 선거에서 탈락하는 이변이 연출됐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독주에 공청단 출신 정치세력인 ‘퇀파이’(團派)가 몰락했음을 보여 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24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의 각 조직은 최근까지 당 대회에 참석할 대표 2300여명을 선출했다. SCMP가 당선자 명단을 확인한 결과 공청단 제1서기인 친이즈(51)가 탈락했다. 지금까지 중앙위원이 정년퇴직 전에 당 대표에서 탈락하는 경우는 없었다. 의외의 당선을 막기 위해 당 조직이 후보자 선출 과정부터 투표까지 엄격하게 관리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번 이변은 시 주석의 의중이라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 중국 전문가인 조지워싱턴대 데이비드 샴보 교수는 “매우 특이한 일이 벌어졌다”면서 “시 주석의 퇀파이 공격에 희생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14~28세 엘리트 청년조직인 공청단은 그동안 수많은 지도자를 배출했다. 현재 25명의 정치국 위원 가운데 공청단 경력을 가진 사람이 12명에 이를 정도다. 리커창 총리와 장가오리 부총리도 공청단 출신이다. 둘은 1980년대 후진타오 전 주석이 공청단 제1서기를 맡았을 때 서기로 활동했다.

퇀파이는 시 주석과 리 총리가 총서기를 놓고 경쟁할 때 리 총리를 밀었다.

공청단의 몰락은 시 주석의 견제 세력이 사실상 사라졌음을 의미한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포스트 시진핑으로 조명받다가 최근 사라진 쑨정차이 충칭시 서기도 결국은 후진타오 때 큰 인물”이라면서 “시 주석은 자신이 발탁하지 않아 충성심이 증명되지 않은 인사들을 차례로 제거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차기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후보로 꼽혀 온 쑨정차이(53) 전 충칭시 서기가 부패 의혹으로 조사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7-07-2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