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에 1조원 기부한 美 ‘큰손’…“모든 학생 학비 무료”

의대에 1조원 기부한 美 ‘큰손’…“모든 학생 학비 무료”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4-02-27 17:20
수정 2024-02-27 17: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루스 고테스만(93) 여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대학 홈페이지
루스 고테스만(93) 여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대학 홈페이지
미국 뉴욕의 한 의과대학에 10억 달러(약 1조 3315억원)의 기부금이 들어왔다. 한 여성이 남편의 유산을 기부한 것으로, 이 덕분에 이 학교 모든 학생은 학비 걱정 없이 공부할 수 있게 됐다.

2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뉴욕 브롱크스에 있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의대에 이 대학의 전직 교수이자 이사회 의장인 루스 고테스만(93) 여사는 거액의 기부금을 쾌척했다.

이는 2022년 96세로 작고한 남편 데이비드 고테스만에게서 상속받은 재산이다.

고인은 투자회사 퍼스트 맨해튼을 운영하며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이 세운 복합기업 버크셔 해서웨이에 투자해 자산을 키웠다. 고인과 버핏은 친분이 남달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고테스만 여사는 “남편이 나도 모르게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을 남겼고,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이든 하라고 했다”고 회상했다.

거액의 유산을 어떤 곳에 쓸지 고심한 끝에 고테스만 여사는 학생들을 위해 기부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아인슈타인 의대 학생들이 무료로 수업받도록 지원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아인슈타인 의대의 등록금은 연간 5만 9000달러(약 7800만원)가 넘는다. 학비 부담에 학생들 절반이 졸업할 때 20만 달러(약 2억 6000만원) 이상의 빚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테스만 여사는 의대생들이 자신의 기부금으로 학자금 대출 없이 의사 생활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대학.  AFP 연합뉴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대학.
AFP 연합뉴스
대학 측은 학비 부담에 의대 진학을 꿈조차 꾸지 못하는 소외계층 등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의사의 꿈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심지어 고테스만 여사는 자신을 앞세우지 말라는 조건까지 내걸었다. 대체로 대학은 건물이나 대학 명칭에 고액 기부자 이름을 붙여 기부자를 기리곤 한다.

그러나 고테스만 여사는 이번 기부와 관련, 자신의 이름을 내걸지 말라며 아인슈타인 의대의 이름을 바꾸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1955년 개교한 이 대학은 ‘상대성 이론’을 만든 아인슈타인의 이름을 쓰고 있다.

고테스만 여사는 “내가 이길 수 없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라는 이름이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고테스만 부부의 기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부부는 2008년에도 아인슈타인 의대에 2500만 달러(약 333억원)를 기부했다. 대학 측은 이 돈으로 고테스만 부부의 이름을 딴 줄기세포재생연구소를 설립했다.

고테스만 여사의 결정으로 아인슈타인 의대는 미국에서 학비를 없앤 두 번째 의대가 됐다.

2018년 뉴욕대 의대는 무료 수업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했고 그 이후 지원자가 급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