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넷플릭스 잡는다”… 아마존, 9조 5000억원에 MGM 인수

“넷플릭스 잡는다”… 아마존, 9조 5000억원에 MGM 인수

김정화 기자
입력 2021-05-27 20:30
업데이트 2021-05-28 06: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007시리즈로 유명한 영화 제작사와 통합
‘프라임 비디오’ 1년간 1억 7500만명 이용
베이조스 7월 5일 물러나 신사업 집중

이미지 확대
아마존의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는 아마존을 전자상거래 세계 최강자로 만들었다. 그러나 아마존과 함께 일하는 노동자는 세계 최강의 노동자가 아니다. 기업이 천문학적인 이익을 내는 동안 노동자는 그 기업의 성장 이익을 거의 누리지 못한다면, 이는 정당한가.  서울신문 DB
아마존의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는 아마존을 전자상거래 세계 최강자로 만들었다. 그러나 아마존과 함께 일하는 노동자는 세계 최강의 노동자가 아니다. 기업이 천문학적인 이익을 내는 동안 노동자는 그 기업의 성장 이익을 거의 누리지 못한다면, 이는 정당한가.
서울신문 DB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영화 007시리즈 제작사로 유명한 MGM을 인수하면서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업계에 거대한 지각 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를 넘어 헬스케어, 운송 사업까지 손을 뻗친 ‘아마존 왕국’이 영상 서비스업에도 본격 참전하며 경쟁이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2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아마존의 MGM 인수 비용은 84억 5000만 달러(약 9조 5000억원)다. 2017년 홀푸드마켓 인수(137억 달러) 이후 아마존 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로, 앞서 애플이 산정한 인수가(60억 달러)보다도 훨씬 많은 액수다.

결코 적지 않은 부담에도 빅딜이 성사된 건 OTT와 스트리밍 서비스에 미래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아마존은 2010년 아마존 스튜디오를 세워 자체 드라마를 제작하기 시작했고, ‘프라임 비디오’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했다. 프라임 비디오가 제작한 영화 ‘사운드 오브 메탈’은 지난 오스카 시상식에서 편집상과 음향상을 받을 정도로 우수한 성적도 거뒀다. 지난 1년간 프라임 비디오에서 영화 등을 스트리밍한 회원은 1억 7500만명으로 이용시간 역시 전년 대비 70% 이상 늘었다.

이런 상황에서 1924년 설립돼 할리우드의 역사로 불리는 MGM과의 통합은 관련 사업을 더 적극적으로 성장시키려는 아마존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의 계획에 꼭 들어맞는다. MGM은 ‘록키’, ‘양들의 침묵’, ‘터미네이터’, ‘매드맥스’ 등 인기 영화 판권뿐 아니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출연한 ‘어프렌티스’ 등 TV 프로그램 에피소드도 1만 7000개 이상 갖고 있다.

일각에선 ‘오즈의 마법사’와 ‘사랑은 비를 타고’ 등 과거 유명 영화 판권이 이미 다른 영화사에 매각돼 MGM이 과대평가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오랜 시간 누적된 MGM의 전문성이 아마존에 큰 기회가 될 거라 본다. 투자회사 에드워드 존스의 소비자 연구 분석가 브라이언 야브로는 “아마존 스튜디오는 그간 TV 시리즈만 만드는 등 제작의 폭이 제한됐는데, MGM은 영화 제작에 전문 지식을 가진 인재를 얻을 기회를 준다”고 봤다.

아마존이 영상 산업에 뛰어든 또 다른 이유는 업계가 무서운 속도로 통합되며 특정 기업의 독과점이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워너미디어와 디스커버리가 결합되며 앞으로 HBO, CNN,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채널 등 수많은 브랜드가 이들 밑으로 들어가게 된 게 한 예다. CNN은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과 경쟁하려면 기업의 규모가 커야 하고, 이를 위해선 콘텐츠나 네트워크 서비스, 스튜디오를 사들이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봤다.

한편 베이조스는 예고한 대로 오는 7월 5일 CEO직에서 물러나 신기술에 투자하는 베이조스 어스 펀드, 우주탐사 업체인 블루오리진 등 새 사업에 집중할 예정이다. 그의 후임인 앤디 재시는 1997년 직원 200명 규모의 인터넷 서점이었던 아마존에 합류해 이 회사를 함께 키워온 인물로, 아마존의 핵심 수익 사업인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을 이끌어 왔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21-05-28 16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