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020.5.12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파월 의장은 13일(현지시간) 미국의 싱크탱크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가 주최한 화상 연설에서 “코로나19가 초래한 고통의 정도는 말도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다. 지금이 ‘마지막 장’이 아닐 수 있다”며 “깊고 긴 충격은 경제에 지속적으로 충격을 가할 수 있다. 경기회복이 탄력을 받으려면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기업과 가계가 파산하기 시작하면 앞으로 수년 동안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실상 ‘L’자형 경기 침체를 경고했다.
파월 의장은 현재 제로 수준인 기준금리를 마이너스로 끌어내리는 방안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파월 의장은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지지하는 이들이 있다는 걸 알고 있지만 그것은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대상이 아니다. 우리는 마이너스 금리 외에도 좋은 정책수단들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다른 나라들이 마이너스 금리로 수혜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역시 이런 선물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연준에 마이너스 금리를 압박했다.
13일 마켓워치와 로이터통신, CNBC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파월 의장의 연준 수장으로서 직무수행은 개선됐다”며 “하지만 중앙은행이 정한 대출금리에 대해서는 여전히 파월 의장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경기 부양을 위해 저금리를 선호하고 있고, 파월 의장은 저금리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어 적정 금리를 선호하고 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