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비판 버핏, 美증시 ‘트럼프효과’에 110억달러 주식대박

트럼프 비판 버핏, 美증시 ‘트럼프효과’에 110억달러 주식대박

입력 2016-11-23 09:19
수정 2016-11-23 09: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이 그에게 날을 세워온 억만장자 투자자 워런 버핏의 재산을 크게 불려놓았다.

트럼프의 당선 후 미국 증시가 랠리를 펼치면서 버핏이 ‘주식대박’을 터뜨렸기 때문이다.

미국 CNBC방송은 22일(현지시간) 증시의 ‘트럼프 효과’로 버핏이 선거일 후 현재까지 보름 동안 110억 달러(12조9천억 원)의 이득을 챙겼다고 보도했다.

CNBC에 따르면 버핏의 투자회사 버크셔 헤서웨이의 포트폴리오는 트럼프의 지난 8일 대선승리 후 ‘폭발적인’ 이익을 낳고 있다.

우선 버크셔 헤서웨이는 금융주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데, 트럼프 당선 후 금리 인상과 월스트리트 규제 완화가 예상되면서 은행주가 치솟았다.

KBW 나스닥 은행지수는 대선 후 지금까지 13.5% 올랐다.

버크셔가 보유한 상위 6대 은행주의 평가차익은 이로 인해 43억 달러나 불었다. 은행주 외 다른 주식의 상승으로도 버핏은 38억 달러의 자산을 늘릴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해 버핏은 뱅크오브아메리카 7억 주를 주당 7.14달러에 살 수 있는 권리가 있는데, 이 가치도 30억 달러 정도 크게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버핏은 대선 기간 트럼프가 아닌 민주당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했다. 클린턴의 선거자금 모금행사나 지원유세에 직접 참석하기도 했다.

버핏은 또 ‘연간 100만 달러(약 11억7천만 원) 이상을 버는 사람들에게 최소 30%의 세금을 매기자’는 내용의 ‘버핏 룰’을 주장함으로써 트럼프의 포괄적 감세 정책에 반대했다.

트럼프가 납세기록 공개를 회피했을 때에는 “나는 13살이던 1944년부터 지금까지 연방소득세를 한 해도 빠짐없이 납부했다”고 꼬집기도 했다.

버핏은 그러나 대선 후에는 “(트럼프가) 모든 이에게 존경받을 자격이 있다”며 대통령으로 인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