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례를 왜그렇게 해?” 극우 장병들의 인사법 ‘충격’…97명 군복 벗은 獨

“경례를 왜그렇게 해?” 극우 장병들의 인사법 ‘충격’…97명 군복 벗은 獨

윤예림 기자
입력 2025-08-27 20:00
수정 2025-08-27 2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일, 지난해 극우 장병 97명 해임

이미지 확대
지난 6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독일 연방군 선서식에서 명예 근위병들이 도열해 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EPA연합뉴스
지난 6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독일 연방군 선서식에서 명예 근위병들이 도열해 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EPA연합뉴스


지난해 독일 연방군에서 우익 극단주의를 이유로 90명이 넘는 장병이 해임된 것으로 드러났다.

독일 공영방송 WDR는 25일(현지시간) 독일 국방부가 좌파당 차다 잘리호비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입수해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연방군에서 발생한 극우 의심 사건은 모두 280건이었다. 이중 히틀러 경례를 하거나 극우 노래 가사를 인용하고, 인종차별 발언을 하는 등 문제를 일으켰다가 해임된 장병은 97명이다. 이는 2023년 62명보다 56% 늘어난 숫자다.

이들 가운데 최소 17명은 히틀러 경례를 했다가 적발돼 군복을 벗은 것으로 나타났다. 히틀러 경례는 손바닥을 아래로 하고 오른팔을 비스듬히 올려 뻗는 나치식 인사법이다. 나치식 인사 등 나치의 상징물은 독일 형법상 위헌조직 표시사용죄로 형사처벌 대상이다.

잘리호비치 의원은 “일부는 무기 접근 권한을 계속 갖거나 교관, 상사로 활동했다”며 “민주주의를 거부하는 사람은 군복을 입거나 무기를 가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독일에서는 극우 세력에 동조하는 경찰관과 군인들이 인종차별 발언 등으로 말썽을 빚는 경우가 많다. 주간지 슈테른은 지난 5월 극우 성향으로 조사·징계 절차를 밟는 경찰관이 최소 193명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연방정부는 2023년 반헌법적 행위를 한 장병을 더 쉽게 내쫓도록 군인법을 개정하고 국방부 산하 방첩기관이 군인들을 감시하고 있다.

국방부 대변인은 WDR에 “극단주의 척결은 여전히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