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바이든 “전쟁 직접 개입 없어…푸틴 축출 시도 안 한다”

[속보] 바이든 “전쟁 직접 개입 없어…푸틴 축출 시도 안 한다”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2-06-01 13:32
수정 2022-06-01 1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크라, 유리한 입지로 협상 나서도록 지원 계속”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DC A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DC A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와 러시아 사이의 전쟁을 추구하지 않으며 푸틴을 모스크바에서 축출하려고 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에 낸 기고문에서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미군을 파견하거나 러시아군을 공격하는 방식으로 전쟁에 관여할 생각이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또 “우리는 우크라이나가 국경 너머로 (러시아를) 공격하도록 부추기거나 가능하도록 지원하지 않을 것이며 러시아에 고통을 주기 위해 전쟁을 연장하고 싶지도 않다”고 했다.

다만 우크라이나와 동맹국에 대한 지원은 중단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러시아 제재를 놓고 동맹국들과 계속 협력하고 의회가 승인한 대로 수십억 달러를 우크라이나에 더 지원할 것”이라며 “(러시아와 인접한) 나토 동쪽 회원국에 대한 병력 및 군사 역량 지원도 계속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AFP 연합뉴스·우크라이나 대통령궁 제공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AFP 연합뉴스·우크라이나 대통령궁 제공
우크라이나가 전투 성과를 내고 유리한 지위에서 러시아와 종전 협상에 나설 수 있도록 돕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목표는 간명하다. 침략에 방어할 수단을 갖춘 민주적이고 자주적인, 번영하는 우크라이나를 보는 것”이라고 했다.

전쟁은 외교적 해법을 써야 확실히 끝낼 수 있고, 우크라이나가 전투 후 협상 테이블에서 가장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도록 그동안 미국이 무기 등을 지원해 왔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없이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따르고 있다”면서 “우크라이나 정부에 영토를 양보하라고 압력을 가하는 것은 이런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며 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서울시의회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 제2선거구)은 지난 6월 23일 왕십리도선동을 시작으로, 6월 25일 행당1동, 7월 8일 왕십리제2동, 7월 9일 행당2동에서 열린 2025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참석해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며 자치 활동의 의미를 함께했다. 주민총회는 각 동의 주민자치회가 주도해서 한 해 동안의 활동을 보고하고, 주민 제안 사업에 대해 주민들이 직접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자리로, 생활자치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참여 플랫폼이다. 이번 주민총회에서는 자치계획 보고, 분과별 활동 공유, 마을의제 설명 등 다양한 순서가 진행되었으며, 생활안전, 복지, 환경 등 주민 실생활과 밀접한 주제들이 활발히 논의됐다. 구 의원은 각 총회에 참석해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주민들이 직접 마을의 일에 참여하고 방향을 정하는 모습이 참 인상 깊었다”면서 “이런 소중한 참여와 열정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시의회에서도 힘을 보태겠다”고 전했다. 한편, 구 의원은 매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빠짐없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꾸준히 청취하고 있으며, 주민 제안이 실질적인 정책과 예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이어 “우크라이나가 외교에 등을 돌렸기 때문이 아니라 러시아가 계속 전쟁을 벌이기 때문에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것”이라며 “우리는 우크라이나의 힘을 키우고 전쟁을 협상으로 끝내도록 위한 노력을 계속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