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이주 여부 논란에…러 “모두 자발적 이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포격으로 훼손된 남동부 항구도시 마리우폴의 아파트 앞을 자전거를 탄 사람들이 지나고 있다. 2022.4.22 타스 연합뉴스
26일 러시아 극동 지역 매체에 따르면 마리우폴 주민 308명이 지난 21일 연해주 나홋카역에 도착했다. 이 중 상당수가 여성과 어린이인 것으로 전해졌다.
역에 도착한 이들은 인근 브란겔에 있는 임시 숙소로 향했다.
남편과 함께 나홋카에 도착한 마리우폴 수도사업소 전 직원 미로슬라바는 이곳에 오기까지 겪은 긴 여정을 전했다. 러시아 태생인 미로슬라바는 “마리우폴에서 30㎞ 떨어진 마을에서 며칠을 머물다가 도네츠크주에 있는 베즈멘노에로 이동해 11일 동안 있었다”면서 “이후 ‘여과 캠프’를 통과한 뒤 러시아 타간로크와 모스크바를 거쳐 이곳으로 왔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27일 가족과 함께 마리우폴을 빠져나왔다고 밝힌 빅토르는 현지 매체에 “하루빨리 일자리를 찾고 싶다”고 말했다.

‘파괴된 삶터’에 망연자실한 우크라 여성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에서 18일(현지시간) 한 여성이 러시아군의 무차별 폭격으로 파괴된 주거단지 앞마당에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앉아 있다. 6주 넘게 러시아군의 포위 공격을 받은 마리우폴은 도시 기반시설의 90% 이상이 파괴돼 이곳 주민들은 식량, 식수, 전기 공급이 끊긴 채 하루하루를 연명하고 있다. 2022.4.19 마리우폴 로이터 연합뉴스
당국은 이주한 어린이들은 모두 유치원·학교 교육을 받으며, 가족이 다른 곳으로 거처를 옮기더라도 정상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앞서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군이 약속을 파기해 마리우폴에서 인도적 통로 확보가 어그러졌으며, 주민 상당수가 러시아로 강제 이주됐다고 주장했다. 류드밀라 데니소바 우크라이나 의회 인권위원장은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가 마리우폴 주민들을 우크라이나 본토에서 8000㎞ 떨어진 러시아 극동지방 크리모르스키주(연해주)로 강제 이동시켰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 정부가 인도적 대피를 가장해 전쟁이 시작한 이후 이달 초까지 약 4만 5000명의 우크라이나인을 러시아로 강제 추방한 것으로 추산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우크라 마리우폴 거리의 친러 반군 병사들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 거리에서 한 민간인이 친러시아 반군 병사들 사이를 걸어가고 있다.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 내 친러 반군 세력은 전략적 요충지인 마리우폴을 사실상 점령했다고 주장했다. 2022.4.18.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군은 지난 21일 마리우폴을 점령했다고 선언하며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전역과 남부를 완전히 장악하겠다는 2단계 목표를 제시했다. 마리우폴은 친러시아 분리주의자들이 독립을 주장하는 돈바스 지역과 2014년 러시아가 무력으로 병합한 크림반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다. 행정상으로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州)에 속한다.
러시아의 목표대로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남부 지역을 모두 점령하면 러시아는 돈바스와 크림반도를 연결하는 육상 회랑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몰도바 트란스니스트리아로 나아갈 추가 통로까지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