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코로나 사망자 9주만에 증가… 델타변이 111개국 확산

세계 코로나 사망자 9주만에 증가… 델타변이 111개국 확산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1-07-15 16:31
수정 2021-07-15 16: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주 전세계 코로나 확진자 5주만에 300만명대
미국 1주일 확진자 46개주에서 10% 이상 늘어
네덜란드 확진자 5배 증가, 러시아 사망자 역대 최고
지난 1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의 한 병원에서 구급대원이 서 있는 모습. 14일 아르헨티나의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는 10만명을 넘었다. AP
지난 1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의 한 병원에서 구급대원이 서 있는 모습. 14일 아르헨티나의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는 10만명을 넘었다. AP
델타 변이가 111개 국가로 확산되면서, 최근 9주간 감소하던 전세계 코로나19 주간 사망자 수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주간 확진자 수도 5주만에 다시 300만명을 넘어섰다.

미국 ABC방송은 14일(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의 발표 내용을 토대로 지난주 코로나19 사망자가 5만 6092명이라고 전했다. 직전 주(5만 4000명)와 비교하면 3.9% 증가한 것으로, 4월 마지막주(9만 6698명)에 정점을 찍은 뒤 시작된 9주간의 감소세가 멈췄다.

지난주 확진자 수는 307만 1040명으로 직전 주간(272만 6917명)보다 12.6% 증가했다. 주간 확진자 수가 300만명을 넘은 건 5월 마지막주(303만 1269명) 이후 처음이다. 이날까지 전세계 누적 확진자는 1억 8751만 9798명, 누적 사망자는 404만 9372명이었다.

인도(3만 8792명)와 영국(3만 6216명)은 직전 24시간 동안 확진자가 3만명을 넘어서 가장 많았고, 사망자는 러시아(786명)와 브라질(745명)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ABC방송은 코로나19가 다시 확산세로 돌아서는데 대해 “낮은 백신 접종률, 마스크 의무화 및 기타 방역대책의 완화, 전염성이 높은 델타 변종의 빠른 확산”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그간 코로나19 백신 접종으로 안정세였던 미국에서 50개주 가운데 46개주에서 최근 1주일간 확진자가 전주보다 10% 이상 늘었다고 CNN이 이날 전했다. 특히 이중 31개주는 전주보다 확진자가 50% 이상 증가했고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서는 한달 만에 신규 확진자가 6배로 늘었다.

백신은 충분하지만 인구 중 접종완료자는 48.1%로 절반에도 못미치고 있다. 비접종자를 중심으로 델타변이가 확산되면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등에서는 병원들이 다시 코로나19 환자로 차기 시작했다.

유럽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네덜란드에서는 델타 변이를 중심으로 1주일만에 확진자가 5배로 증가하자 총리가 성급하게 내렸던 방역 완화에 대해 사과했다고 야후 뉴스가 이날 전했다. 벨기에도 델타 변이가 청년층을 중심으로 퍼지면서 1주일만에 확진자가 2배로 늘었다. 영국은 지난 8일부터 일일 확진자가 3만명을 넘어섰는데 이는 지난 1월 23일 이후 처음이다. 러시아에서는 이날 사망자수가 역대 최고치였다.

그럼에도 국민들의 반감을 감한할 때 재봉쇄는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각국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스라엘, 터키, 러시아 등은 빠르게 부스터샷(면역 효과의 연장·강화를 위한 추가 접종)을 도입했다. 다만, 부스터샷 등으로 국가 간에 백신 불균형이 커지면 코로나19의 세계적인 종식은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