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박쥐→중간동물→인간 전파 가능성 가장 높아”

로이터 연합뉴스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세계보건기구(WHO).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WHO 사무총장은 추가조사 및 연구 요청세계보건기구(WHO) 주도로 중국 우한에서 진행된 코로나19 기원 조사 결과가 발표된 가운데 한국과 미국, 일본 등 14개국은 원자료에 대한 접근 부족에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기원 조사 완전한 원자료에 대한 접근 부족 우려”한국을 포함한 14개국 정부는 30일(현지시간) 발표된 기원 조사팀의 보고서에 대해 공동 성명을 내고 “우리는 SARS-CoV-2(코로나19 바이러스)의 근원에 대한 국제 전문가의 연구가 상당히 지연되고 완전한 원자료와 샘플에 대한 접근이 부족했다는 점에 대해 공통으로 우려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 성명에는 한국과 미국, 영국, 일본, 호주, 캐나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이스라엘,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등 14개국이 참여했다.

AP 연합뉴스
‘코로나19 기원’ 조사 결과 발표한 WHO
세계보건기구(WHO)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 조사팀’을 이끄는 피터 벤 엠바렉 박사가 9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염 경로를 보여주는 차트를 들어보이고 있다. 2021.2.9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이어 “우리는 이러한 우려를 이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의 기원에 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배우는 것의 이익뿐 아니라 다음 단계의 연구와 다음번 보건 위기(의 대응)를 위한 시기적절하고 투명하며 증거에 기반한 절차로 가는 길을 마련하기 위해서 공유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우리는 인간에게 전파(introduction)된 수단을 찾기 위한 동물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포함한 이번 연구의 결과와 권고안에 주목하며 전문가 주도의 2단계 연구를 위한 모멘텀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WHO와 모든 회원국은 접근성과 투명성, 적시성에 대해 새로운 약속을 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WHO, 코로나19 전파경로 4가지 상정

AP 연합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출설’ 현장 조사 나선 WHO조사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을 밝혀내기 위해 중국 허베이성 우한을 방문하고 있는 세계보건기구(WHO) 조사팀이 3일 우한 바이러스연구소에 도착하고 있다. 2021.02.03.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이 가운데 박쥐 등으로부터 중간 동물 숙주를 통한 전파설을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봤고, 동물에서 인간으로의 직접 전파설과 콜드 체인(냉동 식품 운송)을 통한 전파설을 그 다음으로 평가했다.
실험실 유출설에 대해서는 “극히 드문” 가설이라고 밝혔다.
또 우한의 화난수산시장이 발병 근원지가 아닐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실험실 유출설에 대해 추가 조사와 심층 연구를 요청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