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코로나 어디서 왔나”…WHO 전문가팀, 우한서 본격 조사(종합)

“코로나 어디서 왔나”…WHO 전문가팀, 우한서 본격 조사(종합)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1-29 23:50
업데이트 2021-01-29 23: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기원 조사에 나선 세계보건기구(WHO) 팀원들이 28일 2주간 격리 생활을 했던 중국 우한 시내 제이드 부티크 호텔을 떠나면서 손을 흔들고 있다. 우한=EPA연합뉴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기원 조사에 나선 세계보건기구(WHO) 팀원들이 28일 2주간 격리 생활을 했던 중국 우한 시내 제이드 부티크 호텔을 떠나면서 손을 흔들고 있다. 우한=EPA연합뉴스
WHO 전문가팀, 우한서 격리해제
방문지·면담자 등 조사 대상 관건
中, 美 겨냥 “정치화한 해석 부적절”
WHO, “우한바이러스연구소·화난시장 방문 계획”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중국 우한을 방문한 세계보건기구(WHO) 전문가팀이 격리 해제돼 29일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앞서 다국적 전문가 13명으로 구성된 전문가팀은 지난 14일 우한에 도착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WHO 전문가들이 14일간의 격리를 마쳤다면서 “중국에서 바이러스 기원을 찾기 위한 교류 협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전문가팀이 이날 오후 3시(현지시간)쯤 버스를 타고 현장 조사를 위해 격리 호텔을 떠났다.

AP통신은 전문가팀이 버스를 타고 호텔을 떠났으며 호텔직원들이 손을 흔들며 배웅한 것으로 보아 다른 호텔로 숙소를 옮기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전문가팀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버스기사는 몸을 완전히 가리는 보호복을 입었다고 덧붙였다. 호텔 입구에는 바리케이드가 설치돼 언론의 접근이 차단됐다.

이날 자오 대변인은 WHO 전문가들이 좌담회와 방문, 현지 조사 등의 활동을 하게 된다면서 이는 미래의 위험을 예방하고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최고 목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을 겨냥해 “어떤 선입견이나 부정적 추측, 심지어 정치화한 해석은 부적절하다. WHO 전문가들이 중국에서 연구 협력을 진행하는데 불필요한 방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7일(현지시간) 코로나19의 기원에 대해 강력하고 분명한 국제적 조사를 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전문가팀은 첫 집단 감염지인 화난수산시장과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했던 병원, 연구기관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연초 중국 우한 지역에 조사단을 파견했다. 조사단은 2021년 말쯤 코로나19 최초 발원지에 대한 1차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이처 제공
세계보건기구(WHO)는 연초 중국 우한 지역에 조사단을 파견했다. 조사단은 2021년 말쯤 코로나19 최초 발원지에 대한 1차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이처 제공
코로나19 사망자 유가족, 전문가팀 만나게 해달라고 요청
코로나19 사망자 유가족이 전문가팀을 만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는 보도가 전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를 통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WHO는 트위터에서 “(전문가팀의) 현장방문에는 우한 바이러스연구소, 화난 시장, 연구실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코로나19 발생 초기 감염된 환자 일부와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덧붙였다.

WHO 부사무총장을 지낸 켄지 후쿠다 홍콩대 교수는 AP통신에 “(코로나19가) 시작된 지 1년이 지났고 많은 물리적 증거들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면서 확고한 결론이 나올 때까지 수년이 걸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코로나19 기원 조사 최종결과가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