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고 보자”…트럼프의 ‘애매한’ 단골 화법 눈길

“두고 보자”…트럼프의 ‘애매한’ 단골 화법 눈길

입력 2017-09-07 17:06
수정 2017-09-07 17: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불편한 질문에는 “두고 보자”로 즉답 피해

“두고 보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애매하기만 한 단골 화법이 눈길을 끌고 있다.

북한 문제 등 현안에 대해 기자들의 질문을 받거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할 때 트럼프는 늘 “두고 보자”(We‘ll see)로 즉답을 피하고 있다고 미국의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6일(현지시간) 전했다.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오전에만 무려 11차례 이런 화법을 구사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전날 오전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대응 방안을 놓고 백악관에서 진행된 의회 지도자들과의 회의 내용을 묻는 기자들에게 “뭔 일이 일어날지 두고 보자. 머지않아 뭔가를 알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는 부채 한도 상향 기한을 3개월 연장하는 데 합의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서도 “두고 보자”고 응답했다.

그는 공화당을 따돌리고 민주당과 허리케인 하비에 대한 정부 재정 지원과 부채 한도 증액 마감 시한을 12월 15일까지 연장하는 안에 합의했다.

이처럼 트럼프는 불편한 질문을 받거나 추후 계획에 대해 애매모호한 태도를 취하고자 할 때, 단순히 말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도 “두고 보자”라는 화법을 동원한다고 폴리티코는 지적했다.

사안의 중요성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중국이 북한과의 전쟁에 나서야 할지에 대한 문제나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 스티브 배넌이 경질됐을 때도 그는 “두고 보자”라는 말을 했다.

북한 문제를 놓고 시진핑과 전화 통화를 할 때도 예외는 아니었다.

트럼프는 “전화 잘 걸었다. 오랫동안 통화했다. 시진핑이 뭔가를 하려고 한다. 그가 할 수 있을지 두고 보자”고 말했다.

(북한에 대해) 군사 행동에 나설 것인지에 관한 기자들의 질문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두고 보자”며 “분명한 것은 군사 행동은 우리의 최선의 선택은 아니다. 뭔 일이 일어날지 두고 보자”고 말했다.

트럼프는 의회가 불법체류 청년 추방 유예 프로그램 ’다카‘(DACA:Deferred Action for Childhood Arrivals)에 대해 행동을 취하지 않을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도 “무엇을 할지 보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장태용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지역주민 위한 범죄예방 시스템 구축 절실”

지난 9일 장태용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국민의힘, 강동제4선거구)은 4일 오전 발생한 천호동 재개발 조합 사무실 흉기난동 사건 현장을 서울자치경찰위원회 길우근 자치경찰협력과장, 강동경찰서 이상일 범죄예방대응과장 등과 함께 방문하여, 이와 같은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두 기관에 강력한 주민 보호 대책 마련과 범죄예방체계 재정비를 촉구했다. 장 위원장은 먼저 이번 사건으로 인해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희생자께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분들께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전했다. 부상당하신 모든 분들의 조속한 쾌유를 간절히 기원하고, 피해자분들께서 일상으로 복귀하실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장 위원장은 이번 사건을 “단순한 우발범죄로만 볼 것이 아니라, 갈등, 고립 등 우리 사회 곳곳에 내재된 위험요인들이 얽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치안의 유지·강화를 넘어 주민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근본적 범죄예방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자치경찰위원회와 강동경찰서에 제안했다. 장 위원장은 지역치안에서 자치경찰의 역할을 강조하며 “서울시, 국가경찰, 자치경찰, 그리고 갈등관리·정신건강 분야 전문가들이 긴밀히 협력하는 방식으로 범죄예방 체
thumbnail - 장태용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지역주민 위한 범죄예방 시스템 구축 절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