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 단교’ 사태에 기름붓는 트럼프…미국서 비판 고조

‘카타르 단교’ 사태에 기름붓는 트럼프…미국서 비판 고조

입력 2017-06-07 17:21
수정 2017-06-07 17: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트럼프, 트위터 통해 사우디 일방적으로 편들고 카타르 비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카타르 단교’ 사태에 기름을 붓는 발언을 쏟아내면서 미국 내에서 비판론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중동 우방들 사이의 첨예한 외교 사안을 놓고 한쪽의 손만 들어주는 거침 없는 행보에 내각과 참모들이 그 뒤처리를 하느라 골머리를 앓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트위터에 “중동 방문 때 내가 ‘급진 이데올로기에 대한 자금 지원은 더는 없을 것’이라고 공언했다. (당시) 정상들이 모두 카타르를 지목했다. 봐라!”라고 적었다.

이어 “사우디아라비아 국왕과 50개국 지도자를 만난 사우디 방문이 이미 성과를 내는 것을 보니 기쁘다. 그들은 극단주의에 대한 자금 지원 문제에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며 “모든 것이 카타르를 지목했다. 이것(카타르 단교)이 테러리즘의 공포를 끝내는 일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단교를 주도한 사우디를 지지하고, 카타르를 일방적으로 비난한 이 글은 미국과 카타르의 오랜 전략적 군사 동맹관계를 간과한 것이라는 비판을 불러왔다.

카타르 알우데이드 공군기지는 중동 지역 최대 규모의 미 공군기지로 이라크,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등에 대한 공습을 이곳에서 조율한다. 따라서 카타르와의 관계가 틀어지면 미국이 주도하는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격퇴전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공화당 소속인 린지 그레이엄(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의원은 “카타르와는 여러 잡다한 문제가 있다”며 “그들이 테러 조직과 한통속이었던 것은 분명하지만, 우리는 거기에 커다란 공군기지를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역시 공화당 소속인 밥 코커 상원 외교위원장은 기자들로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내용을 전해 듣고 “대통령이?”라고 반문한 뒤 5초간 말을 잇지 못했다고 미 의회전문지 ‘더 힐’이 전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국가안보회의(NSC) 법률담당 보과관을 지낸 존 벨린저도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이) 국방부와 카타르 사이의 극히 중요한 관계를 잠재적 위협으로 내몰았다”고 비판했다.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국무부 차관보를 지낸 P.J. 크롤리는 “트럼프 대통령은 마음속에 떠오르는 말을 결과에 대한 고민 없이 즉각 내뱉는다”며 “이런 절제력 부족은 미국의 리더십에 심대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사우디와 단교 가담 국들의 편을 들어줌으로써 미국을 중동 우방들 사이의 불안정한 위기 속으로 밀어 넣었다”고 평가했다.

게다가 카타르는 미국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어 이번 사태를 계기로 카타르 경제가 위축되거나 보복 조치를 할 경우 미국에도 타격이 올 수 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사우디 방문에서 1천100억 달러(약 123조 원) 규모의 무기 판매를 성사시켰다는 점, 그 과정에서 사우디가 대미 로비를 위해 워싱턴의 트럼프 호텔에 투숙하면서 쓴 돈이 27만 달러(약 3억 원)에 이른다는 점도 트럼프 대통령의 개입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을 키우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외교’를 뒷수습하느라 관련 부처와 백악관이 동분서주하고 있다고 WP는 꼬집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여전히 미국은 단교 사태가 가라앉고 즉각 해결되기를 원한다”고 논평했고, 미 국방부는 카타르에 공군기지 지원에 대한 감사의 뜻을 전달하는 논평을 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짐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이날 카타르 국방장관과 직접 통화하기도 했다.

헤더 노어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카타르가 테러와의 전쟁에서 진전을 이뤘으나 더 해야 할 일이 많다”고 지적하면서도 “미국과 카타르의 관계는 굳건하다. 미국은 테러와의 전쟁에서 카타르와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농구계 발전 위해 서울시 실업팀 창단 시급해”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비인기 종목으로 전락하고 있는 농구계의 현실에 공감하고, 농구 종목의 활성화를 위하여 실업팀 창단 등 공공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비판했다. 현재 농구는 1군 중심의 폐쇄적 프로 리그 운영 방식을 유지하고 있어, 대학 졸업 후 프로 진입에 실패한 선수들에게는 농구를 계속할 자리가 없다. 수많은 인재가 유니폼을 벗고 현장을 떠나는 것은 선수 개인의 문제로 그치지 않고, 리그 전체를 떠받칠 선수층을 없애 한국 농구 전체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졌다. 유소년 농구 클럽 또한 운영 인력 부족과 체육관 확보의 어려움으로 성장이 제한되고 있다. 유소년 축구와 야구가 여전히 각 지역 클럽을 중심으로 왕성하게 운영되는 반면, 농구는 프로 리그 중심의 소수 엘리트 시스템에만 집중된 탓에 생활체육 기반 자체가 취약해지고 인프라가 붕괴되고 있다. 지난 6월 13일, 김경 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서울특별시농구협회 이충민 회장은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할 해법은 실업팀의 도입이라 주장한다. 실업팀은 프로 진출이 어려운 선수들에게 제2의 진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 커뮤니티와 연결되어 농구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농구계 발전 위해 서울시 실업팀 창단 시급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