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육군, 왼손잡이도 사용 쉬운 수류탄 개발작업 착수

美육군, 왼손잡이도 사용 쉬운 수류탄 개발작업 착수

입력 2016-09-21 11:34
수정 2016-09-21 1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열ㆍ충격탄 겸용 … 적용기술에 비판의견도 제기

美육군, 왼손잡이도 사용 쉬운 수류탄 개발작업 착수
美육군, 왼손잡이도 사용 쉬운 수류탄 개발작업 착수 미 육군이 왼손잡이도 사용이 쉬운 신형 수류탄 ’ET-MP’ 개발에 나섰다. 사진은 미군의 대표적인 수류탄 ’M67’. 2016.9.21
미 국방부 홈페이지 캡처
미국 육군이 왼손잡이 병사도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양손잡이용’ 수류탄 개발작업에 나선다.

BBC 뉴스, 파퓰러 사이언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 육군 화기연구개발기술센터(ARDEC)는 오른손잡이 병사용으로 된 ‘M67’ 수류탄의 단점을 보완해 왼손잡이 병사도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양손잡이용 신형 수류탄(ET-MP) 개발작업 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미 육군이 ‘개량전술다목적탄’이라는 뜻을 가진 신형 수류탄 개발에 나서게 된 것은 41년 만이다.

1차 세계대전 이후 보병의 근접전투용 주력 화기로 사용되어온 수류탄은 폭발 시 탄체(彈體)내의 금속 파편이 퍼지면서 인명을 살상하는 세열수류탄과 충격파로 상대를 살상하는 충격 수류탄이 주류를 이뤄왔다.

또 살상효과가 큰 화학가스를 방출하는 가스수류탄, 순간적으로 높은 온도의 열을 발생시켜 목표를 태우는 소이수류탄, 아군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잠깐 은폐하는 연막수류탄 등 목적에 따라 종류도 다양하다. 병사가 직접 던지는 것 외에도 자동소총, 박격포 등을 통해서도 투척할 수 있다.

미군은 폭발 시 인체에 치명적인 석면 누출 위험성이 크다는 이유로 지난 1975년 ‘MK3A2’ 충격 수류탄을 퇴출했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되는 ‘ET-MP’ 신형 수류탄은 양손잡이용 외에도 세열탄과 충격탄을 겸한다는 것이 ARDEC 관계자의 설명이다. 작전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세열탄이나 충격탄으로 전환할 수 있어 특정 작전 환경에 따라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할수 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다 전자식 시한 신관으로 폭발시간을 세분화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였다. 관계자는 “신형 수류탄이 개발돼 보급되면 병사들이 용도에 맞게 여러 가지 수류탄을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신형 수류탄이 왼손잡이 병사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안전성도 높인 것도 주목할만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의 저스틴 브롱크 선임연구원은 신형 수류탄에 적용되는 기술이 혁명적이지 않은 데도 별도로 예산을 책정하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며 비판적인 견해를 보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