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딱정벌레가 시진핑?…中 생물학자 학술논문 봉쇄

신종 딱정벌레가 시진핑?…中 생물학자 학술논문 봉쇄

입력 2016-07-13 15:23
업데이트 2016-07-13 15: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의 한 생물학자가 새로 발견한 곤충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이름을 붙였다가 중국에서 관련 논문발표를 전면 봉쇄당했다.

13일 대만 자유시보(自由時報)에 따르면 체코에서 유학중인 중국 생물학자 왕청빈(王成斌·32) 박사는 최근 국제동물분류학회지 ‘주택사’(Zootaxa)에 중국 하이난(海南)성에서 발견한 신종 딱정벌레에 관한 학술논문을 게재했다가 곤욕을 치르고 있다.

그가 이 곤충에 명명한 이름은 ‘시(習)씨 딱정벌레’(Rhyzodiastes (Temoana) xii)였다. 왕 박사는 논문에 “시진핑 주석의 영도하에 중국의 국력이 갈수록 강해지고 있어 시 주석에게 헌사하기 위한 이름”이라고 소개했다.

등줄벌레과에 속하는 이 딱정벌레는 염주 모양의 더듬이를 갖고 있는 희귀종으로 주로 나무껍질 밑이나 썩은 고목에서 서식하며 썩은 물질을 먹고 자란다.

시 주석의 이름을 딴 곤충 발견 소식은 최근 중국 인터넷에 퍼지며 네티즌들이 이를 패러디해 정치 소재로 삼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부 누리꾼은 냄새나는 벌레에 시 주석의 이름을 붙인 것이 모욕의 의미를 담는 것 아니냐고 공격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씨 딱정벌레’란 말은 현재 인터넷포털과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웨이신(微信·위챗) 등에서 검색이 차단된 상태로 찾을 수 없다. 왕 박사의 논문도 이미 중국 인터넷상에서 사라졌다.

왕 박사는 선의의 뜻에서 행한 명명이 당국과 네티즌들로부터 오해를 받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그는 “신종 곤충에 시 주석의 이름을 붙인 것은 시 주석이 거둔 위대한 성과에 대한 하나의 상징”이라며 “이 딱정벌레가 매우 보기 힘든 곤충인 점과 시 주석이 100년에 한번 나타날까 말까한 인물이라는 점도 상통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딱정벌레가 부패한 물질을 먹어치워 버리는 것도 시 주석의 강력한 반부패 드라이브에 비견될 수 있다고 강변했다.

왕 박사는 쓰촨(四川)대 졸업후 중국과학원 동물연구소에 들어가 버섯벌레과 분류학 연구를 해오다 현재 체코 생명과학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일하고 있다. 왕 박사처럼 과학계에서는 존경하는 지도자의 이름을 따 새로 발견한 동식물에 붙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지난 2012년 미국 애쉬번대학의 제이슨 본드 교수가 발견한 신종 거미에게는 버락 오마바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따 ‘압토스티쿠스 버락오바마이’(Aptostichus barackobamai)'로 명명됐다.

넬슨 만델라 전 남아공 대통령의 이름을 딴 바다 달팽이 만델리아 미로코나타(Madelia mirocornata)도 있었다. 중국 지도자의 이름을 딴 생물체는 이제 딱정벌레 하나에 그칠 전망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