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백악관, 9·11테러 사우디 연계의혹 보고서 조만간 공개

美 백악관, 9·11테러 사우디 연계의혹 보고서 조만간 공개

입력 2016-04-25 07:29
수정 2016-04-25 07: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백악관이 사우디아라비아와 9·11 테러범들의 연계 가능성을 시사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진 의회 조사보고서의 일부를 조만간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고 폭스뉴스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9·11 테러 의회 합동조사위 공동위원장을 맡았던 밥 그레이엄 전 상원 위원장은 폭스뉴스에 “미 정부 관리 한 명이 ‘몇주 안에 관련 문건의 일부 공개 여부가 결정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현재 해당 보고서 문건은 의회 지하 보안실에 보관돼 있다. 폭스뉴스는 이들 문건이 9·11 테러리스트 일부에 대해 외국의 지원 실태를 다루고 있다고 전했다.

문제의 보고서는 미 상·하원 정보위원회가 9·11 테러에 이르기까지의 과정들을 합동 조사한 전체 문건 900쪽 가운데 28쪽으로, 당시 테러의 배후 지도자인 오사마 빈 라덴과 항공기 납치범 19명 중 15명의 출신국가인 사우디와 관련된 정보가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우디 왕가가 9·11 테러자금을 지원한 내용이 담겨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 문건이다.

조지 W.부시 정부와 오바마 정부는 지금까지 해당 보고서의 공개가 국가안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며 거부해왔다.

이와 관련, 미국 대선 경선의 민주당 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버몬트)이 최근 9·11 테러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연계 의혹과 관련된 외교적으로 매우 민감한 법안을 지지하고 나섰다.

존 코닌(공화·텍사스) 상원의원과 찰스 슈머(민주·뉴욕) 상원의원이 공동으로 발의한 이 법안은 미국 본토를 겨냥한 테러로 미국인이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책임이 있는 국가에는 면책특권을 적용하지 않아, 테러 피해자들이 이들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이다.

특히 사우디나 카타르 측이 9·11 테러를 저지른 알카에다와 같은 테러 단체에 자금을 지원했다는 의혹이 때문에 이 법안의 초점은 사실 이들 국가에 맞춰져 있다는 게 정설이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6월 2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촉식 및 제1차 전체회의에서 시민권익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서울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민원 처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된 기구로, 민원 처리의 전문성과 공정성 강화를 목표로 운영된다. 이번 제1기 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내부위원 15명과 외부위원 7명으로 구성됐으며, 외부위원으로는 대학교수, 국회입법조사처 팀장, 변호사, 회계사, 기업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실질적인 민원 해소와 제도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위원 임기는 2025년 6월 27일부터 2026년 6월 26일까지다. 첫발을 내디딘 서울특별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의회 민원처리 종합계획 수립 ▲의회신문고 운영·관리 ▲서울시 및 서울시교육청 민원현황 분석 ▲현장 민원조사 ▲주요 시책사업과 관련한 민원 대응 ▲관련 법·자치법규 개선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 의원은 평소 “안 된다, 어렵다”는 관행적 민원 응대에서 벗어나 “된다, 해보겠다”는 적극행정을 강조하며, 강동지역 민원 해결사로서 주민과 행정 사이의 가교 역할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