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수세 몰린 오바마’파리행진 불참 논란’ 조기 진화>

<수세 몰린 오바마’파리행진 불참 논란’ 조기 진화>

입력 2015-01-13 06:46
업데이트 2015-01-13 06: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수’ 재빨리 인정하고 케리 미 국무 14일 파리 보내 “촉박한 통보에 경호상 이유” 해명…비판여론 이어져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고위직 인사들이 지난 11일(이하 현지시간) ‘파리 행진’에 불참한 것을 놓고 미국 내에서 거센 역풍이 일자 오바마 대통령이 서둘러 진화에 나선 모습이다.

공식으로 ‘실수’였음을 인정하고 현재 서남아시아를 방문 중인 존 케리 국무장관을 오는 14일 프랑스로 급파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논란 자체를 조기에 차단하려는 의도가 읽힌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더 높은 직위의 인사를 보냈어야 했다”며 잘못을 인정하고 “오바마 대통령도 참석하고 싶어했다”고 주장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그러면서 오바마 대통령이 파리 행진에 불참한 이유를 ‘경호상의 문제’라고 해명했다.

그는 “통지 자체가 촉박했던 상황에서 대통령과 부통령이 수백만 명이 참여하는 거리 행사에 참여하는 데 따른 보안상의 이유가 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익명의 백악관 관리도 미국 언론에 “대통령이나 부통령이 해외출장을 갈 경우 적어도 수개월전부터 기획을 해야 하고 경호요원들이 수일전부터 현장에 가서 사전 보안점검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통상 대통령이 참석하는 행사에는 주변 사람들을 보안점검해야 하는데, 파리 행진의 경우에는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미국 언론에서는 2013년 12월 오바마 대통령이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장례식에 참석했을 당시 사전준비에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데다 부통령의 경우 경호절차가 상대적으로 더 간소하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히려 이번 파리 행진의 중요성에 대한 백악관 참모들의 ‘전략적 판단’에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시각이 우세하다. 오바마 대통령이 사건 발생직후인 지난 9일 주미 프랑스대사관을 예고없이 방문해 조의를 표하고 테네시 주 녹스빌대학에서 파리 테러를 강력히 규탄하는 발언을 한 것으로 충분한 ‘성의’를 보였다고 판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그러나 공화당과 언론에서는 비난의 끈을 늦추지 않고 있다.

2016년 대선에 출마할 것으로 예상되는 공화당 소속 테드 크루즈(텍사스) 상원의원은 이날 타임 매거진에 올린 글에서 “미국 대통령의 (파리 행진) 불참은 세계무대에서 미국 리더십이 부재함을 상징하며 이것은 위험스럽다”고 비판했다.

역시 공화당의 잠재적 대선후보인 마르코 루비오(플로리다) 상원의원은 CBS방송의 ‘디스 모닝’에 참석해 “오바마 행정부가 고위직 정부 대표를 보내지 않은 것은 실수”라며 “케리 국무장관이라도 보냈어야 했다”고 거듭 지적했다.

진보 성향의 뉴욕 데일리뉴스도 1면에 오바마 대통령과 바이든 부통령, 케리 국무장관, 에릭 홀더 법무장관의 사진을 게재하고는 “당신들이 세계를 절망시켰다”는 제목을 뽑았다.

이런 가운데 파리행진 당일 인도를 방문 중이던 케리 국무장관은 이날부터 이틀간 파키스탄에 머문 뒤 14일 파리로 향할 예정이다.

케리 장관은 오바마 행정부 고위직 인사들의 불참 문제를 놓고 비판론이 일고 있는 데 대해 “트집 잡기 같다”며 “미국은 프랑스 국민과 깊이 연대하고 있으며 처음부터 프랑스에 정보를 제공하고 지원을 보냈다”고 강조했다.

법무부의 한 대변인은 홀더 장관이 거리행진에 불참한 데 대해 “장관은 주말 일정까지 바꿔가며 파리로 달려갔다”며 “(파리행진이 있었던) 일요일 오후에 돌아와야 했지만, 당시 세계 정상들과 함께 테러방지 회의에 참석한 것을 자랑스러워 했다”고 변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