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억만장자 美주지사후보 ‘최저임금 삭감 공약’ 논란

억만장자 美주지사후보 ‘최저임금 삭감 공약’ 논란

입력 2014-01-09 00:00
업데이트 2014-01-09 1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조 측 “가난한 사람을 상대로 싸우지 말고 빈곤에 맞서 싸워달라” 같은 정당 후보들마저 “정치적 자살행위, 딴 세상 사람” 비난

미국 일리노이 주지사 선거에 출마한 억만장자 사업가가 노동자들의 최저임금 인상 노력에 역행하는 ‘최저임금 삭감’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워 논란이 일고 있다.

8일(현지시간) 시카고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일리노이 주지사 선거에 나선 공화당 소속 브루스 로너(56)는 전날 전파를 탄 선거광고를 통해 “주지사에 당선되면 현재 8.25 달러(약 8천790원)인 일리노이주 시간당 최저임금을 연방정부 수준인 7.25 달러(약 7천730원)로 하향 조정하겠다”고 공언했다.

시카고에 기반을 둔 사모펀드기업 ‘GTCR’ 회장을 거쳐 ‘R8 캐피털 파트너스’(R8 Capital Partners) 회장을 맡고 있는 로너의 작년 소득 신고액은 총 5천300만 달러(약 565억원).

로너는 “최저임금을 낮춰야 일자리가 늘어난다”며 “일리노이주가 경쟁력을 갖춰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로너의 이 공약은 팻 퀸 일리노이주지사(민주·65)가 시간당 최저임금을 10 달러(약 1만660원)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대한 반발로 나왔다.

이번 선거에 재출마를 선언한 퀸 주지사는 “주당 40시간 일을 한다면 극빈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간당 최저임금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미국 민주당 소속 정치인들은 선거가 치러지는 해를 맞아 전국의 노동조합과 손잡고 미국에서 가장 낮은 보수를 받고 일하는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을 주요 공약으로 앞세우고 있다. 미 전역에서 최저임금 인상 바람이 불고 있는 셈이다.

노동자들은 화폐 가치 변화 등을 고려할 때 1969년 1.60달러(약 1천700원)였던 최저임금은 현재의 10 달러 이상에 해당한다며 10.65 달러(약 1만1천350원)까지 인상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일리노이주 초당파 정책연구기관 IPI(Illinois Policy Institute)의 존 틸먼 소장은 “더 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되찾기 원한다면 최저임금 인하 정책을 지지해야 한다”며 로너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로너의 주장은 댄 루더포드 일리노이 주재무관과 빌 브래디 일리노이 주상원의원, 커크 딜라드 주상원의원 등 다른 공화당 후보들로부터도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

특히 딜라드 의원은 “로너의 최저임금 삭감 공약은 정치적 자살행위나 마찬가지”라면서 “억만장자인 로너가 일반 주민과 얼마나 동떨어진 삶을 살고 있는지를 입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브래디 의원도 성명을 내고 로너를 “딴 세상 사람”이라고 비난했다.

캐런 루이스 시카고 교원노조위원장은 로너를 향해 “단 90일 동안만 정부 보조 없이, 은행계좌의 넘치는 잔고에 손대지 말고, 시간당 7.25 달러 임금만 가지고 살아보라”고 일침을 가했다.

루이스 위원장은 “아이러니하게도 로너는 초당 7.36 달러(약 7천850원)를 번다. 주당 40시간 노동도 보장받지 못하는 상태에서 시간당 7.25 달러 임금에 의존해 살아가는 비정규직을 수용할 수 있겠느냐”며 “그 임금과 불확실한 삶의 조건 하에서 어떻게 네 식구 생계를 꾸려갈 수 있는지를 직접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로너가 다음 휴가지를 고민하는 동안 노동자들은 주택압류와 의료비 인상, 학교 폐쇄 등의 문제를 놓고 시름해야 한다”면서 “가난한 사람들, 노동자 계층에 전쟁을 선포하는 대신 빈곤에 맞서 싸워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