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새 지도부 재산공개 임박설 ‘솔솔’

中 새 지도부 재산공개 임박설 ‘솔솔’

입력 2012-12-27 00:00
수정 2012-12-27 1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패 척결작업 후폭풍…시기 저울질하는 듯원자바오 비리설 대응’정적’ 제거 차원 분석도

시진핑(習近平) 당 총서기를 필두로 중국 새 지도부의 재산공개 여부가 화두로 떠올랐다.

새 지도부가 부정부패 척결 카드를 꺼내 들고 대대적인 사정작업을 펼쳐온 가운데 공직자 재산공개만이 최종 해법이라는 인식이 두드러지면서 지도부가 솔선수범하라는 압력이 거세다.

홍콩을 비롯한 중화권 언론매체들에 따르면 변호사, 학자, 전문가 등 1천여 명의 중국 지식인들이 지난 11월 선출된 공산당 중앙위원 205명과 그 일가의 재산 내역 공개를 요구하는 서명운동을 진행 중이다.

고위층 공산당원 재교육기관인 중앙당교의 장시셴(張希賢) 교수는 “인민 대다수가 당원 간부의 가족과 재산의 공개를 희망한다”는 말로 상무위원들의 재산 공개를 촉구했다.

국가행정학원의 주리자(竹立家) 교수도 “지도자들이 재산공개를 통해 민중과 밀접해질 수 있고 신임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 뉴욕타임스의 보도로 현직인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일가의 3조 원대 축재 의혹이 불거져 고위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하는 것도 중국의 새 지도부로선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중앙·지방의 중하위 공무원, 중소기업까지 사정대상에 올려 부정부패 여부를 샅샅이 뒤지면서 정작 고위층은 “나 몰라라” 한다는 비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우려스런 대목이다.

이런 가운데 베이징 정가에선 중국의 새 지도부가 모종의 ‘결단’을 준비 중이라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신화통신 등 관영 매체들이 근래 돌연 상무위원 7명의 이력, 가정 상황을 상세하게 소개하는 ‘홍보’ 기사를 게재하며 청렴에 초점을 맞췄던 것도 수뇌부 재산공개를 위한 ‘정지 작업’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홍콩 성도일보(星島日報)는 27일 상무위원 7명이 이미 당 중앙위원회에 재산 신고를 했고 이미 검증을 거쳐 공개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시진핑의 재산 내역은 푸저우(福州)·베이징(北京)에 집 두 채와 예금 230만 위안(3억 9천600만 원)으로 신고됐다.

리커창은 베이징·정저우(鄭州)시에 집 두 채와 예금 180만위안, 장더장(張德江)은 광저우·베이징에 집 두 채와 예금 180만 위안, 위정성(兪正聲)은 우한(武漢)·상하이에 집 두 채와 예금 370만 위안, 류윈산(劉雲産)은 베이징에 집 한 채와 예금 170만 위안, 왕치산(王岐山)은 광저우·베이징에 집 두 채와 예금 180만 위안, 장가오리(張高麗)는 지난(濟南)·톈진에 집 두 채와 예금 390만 위안으로 파악됐다. 이 기사엔 상무위원 7명이 보유한 집 주소까지 상세하게 소개됐다.

이 보도의 진위 여부는 불확실하다. 집 주소까지 구체적으로 공개됐다는 점에서 상무위원들의 실제 재산 신고 내역이라는 주장이 있는 가하면 재산이 그 정도일 리는 없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미국에 있는 중화권 인터넷 매체 보쉰(博訊)은 시진핑, 리커창은 청렴결백한 지도자이고 위정성 등 여타 상무위원들도 대개 고관 집안이어서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장가오리는 문제가 될 소지를 안고 있다고 분석했다.

장가오리 일가가 100억 위안 대의 화교 재산을 불법적인 수단으로 빼앗으려고 시도한 탓에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라는 것이 보쉰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해 위창장(于長江) 베이징대 교수와 후싱더우(胡星斗) 베이징이공대 교수는 새 지도부의 재산 공개 가능성을 낙관했다.

성도일보는 만약 상무위원들이 재산공개를 한다면 이는 개혁 추진에서 중대한 돌파구가 될 것이며 2~3년 내 전국으로 확대돼 부정부패 척결 작업에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시진핑 지도체제가 장쩌민(江澤民)과 후진타오(胡錦濤)의 세력 내 ‘정적’을 제거하려는 목적으로 재산 공개 카드를 꺼내 든 것이라는 시각도 일부 존재한다.

권력이면 모든 게 통하는 중국에선 중앙과 지방의 고위직은 물론 중하위직 관리까지 ‘검은돈’ 수수가 관례화한 탓에 재산 공개를 의무화하면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다.

실제 중국 언론매체들도 시진핑 집권 후 부정부패 척결 드라이브에 놀란 중국 관리들이 불법적으로 모은 재산을 처분하려고 혈안이 된 탓에 부동산 시장 매물이 폭주하는가 하면 재산 도피를 위한 외국여행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고 보도해 관심을 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