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숙자·배고픈 사람 늘어…내년 더 심각”

“미국, 노숙자·배고픈 사람 늘어…내년 더 심각”

입력 2012-12-21 00:00
수정 2012-12-21 16: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시장협의회 25개 도시 조사…예산문제로 지원은 줄어

올해 미국 전역에서 집 없고 배고픈 사람이 늘었지만 정부의 예산 부족으로 이들을 돕기가 쉽지 않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 시장(市長)협의회는 20일(현지시간) 미 전역에서 25개 도시를 선정해 조사한 결과 21곳에서 긴급 식량 보조 요청이 늘었으며 3곳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조사 대상 도시 대부분에서 식량 보조 요청이 증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는 또한 조사대상 도시 가운데 절반 이상은 노숙인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면적과 경제 수준이 다양한 도시를 골라 시행했다. 조사대상에는 보스턴, 시카고, 클리블랜드, 댈러스, 로스앤젤레스 등이 포함됐다.

긴급 식량 보조를 요청한 사람 가운데 51%는 가족단위며 37%는 실업자였다. 식량 보조 요청자 6명 가운데 1명은 노년층이며 8.5%는 노숙자였다.

미 도시 빈곤층의 의식주 문제는 내년에 더 심각해질 예정이다.

조사 대상 도시 가운데 4분의 3은 내년에 식량 보조 요청이 늘 것이라 예상했고 식량 요청이 줄어들 것이라 대답한 도시는 한 곳도 없었다. 조사 대상 도시의 60%는 노숙을 하는 가족이 증가할 것으로 응답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예산문제로 1인당 지원 식량을 줄이거나 무료 급식소의 한 끼 음식량을 줄인 곳이 전체 대상 도시에 95%에 달으며, 절반 이상의 도시는 이들에게 제공할 쉼터가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켄터키주(州) 루이빌 시장인 그레그 피셔는 보고서가 “장기 불황을 냉혹하게 암시한다”며 “한때 중산층이던 가족이 지금은 비 피할 곳도 없는 노숙자 처지”라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은 2007∼2009년 경기 불황으로 빈곤과 실업률, 식료품 할인구매권 등록자 수가 크게 늘었다.

경제가 회복 조짐을 보이면서 실업률은 10%에서 7.7%까지 떨어지기도 했지만 빈곤율은 여전히 15%에 머물며 식료품 할인구매권 등록자 수도 4천770만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미 의회에서 재정절벽이 임박했다는 소식이 들리자 정부 지원을 받는 미국 빈곤층은 정부의 사회 안전망이 축소될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마이클 너터 필라델피아 시장은 “먹을 것과 쉴 곳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매일 본다”며 “이들에게 의회의 지원 예산 삭감으로 도와 주기 힘들다고 말하는 것은 너무나 어렵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8일, 남가좌1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에 참석해 수료자들과 정비사업 관련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이번 아카데미는 서대문구 주거정비과에서 기획했다. 서대문구는 오래된 주거지역이 많아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역이다. 가재울뉴타운과 북아현뉴타운을 비롯해 수십 곳의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이번 아카데미는 조합원의 소중한 자산인 부동산을 깊이 이해하고, 직접 이해관계자로서 자기 자산을 지켜가며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아카데미는 이론과 실무 경험이 풍부한 우수 강사진을 구성하여 ▲정비계획 및 구역지정 절차 ▲조합 추진위의 구성과 운영 ▲조합 임원의 역할 및 소송 사례 ▲정비사업 감정평가의 이해 ▲조합원 분담규모와 관리처분계획 등 정비사업 전반에 걸친 전문적인 강의를 제공했다. 김 의원은 수강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시 조합원들의 종전자산 평가와 분담규모 추산액, 그리고 사업 추진 속도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김 의원은 과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