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그리스 지원안 29일 의회서 승인할 듯

독일, 그리스 지원안 29일 의회서 승인할 듯

입력 2012-11-28 00:00
수정 2012-11-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야당 원내총무 지원안 지지 시사

유로존과 국제기구가 합의한 그리스 부채 삭감 등 지원안이 29일 독일 의회에서 표결로 승인될 전망이다.

독일 집권 여당인 기독교민주당(CDU)의 원내총무인 미하엘 그로세-뵈머는 “29일 연방하원에서 볼프강 쇼이블레 재무장관의 설명을 듣고 그리스 지원안에 대한 표결이 이뤄질 것”이라고 27일 밝혔다.

유로존 17개 회원국 재무장관들과 유럽중앙은행(ECB) 및 국제통화기금(IMF) 관리들은 전날부터 자정을 넘기는 마라톤협상 끝에 그리스에 437억 유로의 구제금융 차기분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이들은 또 그리스의 부채 규모를 2020년까지 124%로 낮추기 위해 총 400억 유로(약 56조3천억원) 이상을 감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부채 감축 방법으로는 우선 그리스가 발행한 국채를 할인된 가격에 재매입(바이백)하는 방안이 동원되지만, 유로존 국가들과 ECB가 보유한 국채에 대한 상각(헤어컷)도 검토되고 있다.

독일 제1 야당인 사회민주당(SPD)은 이 같은 합의안에 대한 지지 입장을 내비쳤다.

사민당의 원내 대표인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는 이날 ZDF 공영 TV 방송과 인터뷰에서 “나는 그리스가 부도나 유로존을 떠나는 방향을 당원들에게 권유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슈타인마이어 대표는 그러나 유로존 재무장관회의에서 논의된 그리스 부채의 상각 계획에 대해서는 정부측에 분명하게 설명해 줄 것을 요구했다.

그는 “헤어컷은 피할수 없게됐다. 비록 내년 총선 이후로 늦출수 있다고 하지만 2014년에는 현실로 닥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르베르트 바르틀레 기민당 재정 담당 대변인은 독일 라디오 방송과 인터뷰에서 “현재의 계획대로라면 헤어컷은 2020년에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