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대오) 국유화와 관련한 중국의 보복 가능성에 긴장하고 있다.
일본이 10일 관계 각료회의에서 센카쿠 국유화를 공식 결정하자 중국은 강력하게 반발했다.
중국은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가 나서 강한 톤으로 센카쿠 국유화로 인한 사태의 책임을 일본이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후진타오 주석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를 만나 “일본의 댜오위다오 매입은 불법이고 무효”라고 주장하고 “일본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일본이 센카쿠 국유화를 결정한 10일에는 원자바오 총리가 “주권과 영토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 정부나 국민이 절대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훙레이(洪磊) 외교부 대변인은 “영토주권을 사수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보복을 시사했다.
특히 일본의 국유화를 기다리기라도 한 듯 전격적으로 센카쿠에 영해기선을 그음으로써 주권 수호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일본은 2010년 센카쿠에서 중국 어선과 자국 경비선이 충돌한 ‘센카쿠 사태’ 이후 희토류 수출 중단 등 중국의 경제 보복 악몽이 재연되는 것이 아니냐고 잔뜩 긴장하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중국 정부가 보복 조치로 센카쿠 주변 해역에 대한 감시선 파견 강화, 일본 기업에 대한 경제 제재 등을 검토하고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교도통신도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감시선의 센카쿠 정기 파견, 경제 제재, 문화교류와 정치인의 왕래 일시 중단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8월 중국에서 일본 자동차업체의 매출 부진은 댜오위다오 상황과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센카쿠 문제로 인한 중국 국민의 반일 감정이 일본 차의 매출 감소로 연결됐다는 시각이다.
중국 시장에서 8월 외국 자동차 판매는 미국이 19.9%, 한국이 13% 증가한 반면 일본은 2% 줄었다.
센카쿠 국유화에 대한 중국의 반발이 거세자 일본 정부는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외교 경로를 동원해 우익 정치인인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지사의 주도로 도쿄도가 센카쿠를 매입하는 것보다 정부가 사들여 ‘평온하고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중국을 설득하고 있다.
노다 총리와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외무상,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 등 각료들은 중국을 자극하는 발언을 극도로 자제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중국에서 새로운 지도부가 출범하기 전에 센카쿠 갈등을 최대한 완화한다는 전략이지만 중국의 강한 반발로 먹혀들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이 10일 관계 각료회의에서 센카쿠 국유화를 공식 결정하자 중국은 강력하게 반발했다.
중국은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가 나서 강한 톤으로 센카쿠 국유화로 인한 사태의 책임을 일본이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후진타오 주석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를 만나 “일본의 댜오위다오 매입은 불법이고 무효”라고 주장하고 “일본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일본이 센카쿠 국유화를 결정한 10일에는 원자바오 총리가 “주권과 영토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 정부나 국민이 절대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훙레이(洪磊) 외교부 대변인은 “영토주권을 사수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보복을 시사했다.
특히 일본의 국유화를 기다리기라도 한 듯 전격적으로 센카쿠에 영해기선을 그음으로써 주권 수호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일본은 2010년 센카쿠에서 중국 어선과 자국 경비선이 충돌한 ‘센카쿠 사태’ 이후 희토류 수출 중단 등 중국의 경제 보복 악몽이 재연되는 것이 아니냐고 잔뜩 긴장하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중국 정부가 보복 조치로 센카쿠 주변 해역에 대한 감시선 파견 강화, 일본 기업에 대한 경제 제재 등을 검토하고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교도통신도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감시선의 센카쿠 정기 파견, 경제 제재, 문화교류와 정치인의 왕래 일시 중단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8월 중국에서 일본 자동차업체의 매출 부진은 댜오위다오 상황과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센카쿠 문제로 인한 중국 국민의 반일 감정이 일본 차의 매출 감소로 연결됐다는 시각이다.
중국 시장에서 8월 외국 자동차 판매는 미국이 19.9%, 한국이 13% 증가한 반면 일본은 2% 줄었다.
센카쿠 국유화에 대한 중국의 반발이 거세자 일본 정부는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외교 경로를 동원해 우익 정치인인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지사의 주도로 도쿄도가 센카쿠를 매입하는 것보다 정부가 사들여 ‘평온하고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중국을 설득하고 있다.
노다 총리와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외무상,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 등 각료들은 중국을 자극하는 발언을 극도로 자제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중국에서 새로운 지도부가 출범하기 전에 센카쿠 갈등을 최대한 완화한다는 전략이지만 중국의 강한 반발로 먹혀들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