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총액, 6235억 달러 vs 428억 달러
세계적 정보기술(IT)기업인 애플과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업체인 페이스북이 상반된 행보로 주목을 끌고 있다. 애플은 미국 증시 사상 최고의 시가총액을 기록하면서 승승장구하는 반면 페이스북의 주가는 연일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애플은 지난해 8월 석유회사 엑슨모빌을 제치고 시가총액 1위 기업에 오른 지 1년도 안 돼 미국 역사상 시가총액 기준 최대 기업으로 등극했다. 애플의 시가총액은 현재 시가총액 2위인 엑슨모빌의 4059억 달러보다 2000억 달러 이상, 무려 53%나 많은 금액이다.
혁신의 아이콘으로 불리며 애플의 창의적인 디자인 경영을 이끌었던 전 최고경영자(CEO) 스티브 잡스가 지난해 10월 세상을 떠나고 난 뒤 리더십 공백으로 인한 주가 하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그러나 애플의 대표 제품이자 회사 수익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아이폰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높은 데다 아이폰의 최신 버전인 ‘아이폰5’와 ‘아이패드 미니’가 출시될 것으로 알려져 소비자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시장에서 애플이 TV도 판매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애플의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날개를 단 애플과 달리 페이스북은 날개 없이 추락하는 신세다. 페이스북 주가는 20일 공모가(38달러)의 절반 이하인 18.75달러까지 하락했다가 마감 시간을 앞두고 가까스로 20.01달러로 반등했다. 지난 5월 18일 상장 첫날 한때 45달러까지 치솟았던 페이스북의 주가는 이후 한번도 공모가를 넘지 못하고 하락세를 이어가다 8월 들어선 반토막 수준까지 떨어졌다. 상장 당시 1040억 달러였던 페이스북의 시가총액은 이날 기준 428억 달러까지 하락했다.
더욱이 온라인 결제서비스 페이팔의 공동 창립자이자 페이스북의 초기 투자자인 피터 디엘 페이스북 등기이사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페이스북의 주식 대부분을 매각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앞날에 대한 전망은 한층 불투명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자료를 인용해 디엘 이사가 지난 16일 일정 기간 동안 대주주가 의무적으로 주식을 보유해야 하는 보호예수기간이 종료되자 보유 주식 2790만주 가운데 2010만주를 매도했다고 보도했다. 디엘은 이번 매각으로 10억 달러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이달 초 회사 전반적인 문제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한 회의에서 “투자자들이 페이스북에서 손을 떼는 것을 바라보는 일은 괴롭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그간 직원들에게 자사 주식의 가격 변동에 연연하지 말고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개발에 집중할 것을 주문해 온 저커버그지만 침묵을 지킬 수만은 없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조희선기자 hsncho@seoul.co.kr
2012-08-2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