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구도 무슬림형제단 vs 구정권
미국이 이집트 대선을 지켜보며 노심초사하고 있다.지난 24일 이집트 민주화 혁명 이후 치러진 첫 자유 선거에서 무슬림 형제단의 무함마드 무르시(61) 후보와 무바라크 정권의 총리 출신인 아흐마드 샤피크(70) 후보가 1, 2위를 차지해 결선투표에 진출했다. 신구세력의 대결인 셈이지만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오바마 행정부로서는 이집트와의 관계를 과거처럼 유지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미 전문가들의 대체적 분석이다.
미국 외교협회(CFR)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이집트 선거결과 분석 논평을 통해 “누가 이집트 차기 대통령이 되든 양국관계는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며 “무슬림 형제단이 실용주의적 측면을 얘기하지만 국내 정치적 상황으로 볼 때 그들이 미국을 지지하는 것은 그다지 실용적이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CFR은 “물론 이집트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무슬림 형제단이 집권할 경우 미국과 단기적으로 협력하려 하겠지만, 그것이 잘 진행될 것이라고 보기는 힘들다.”고 예상했다. 특히 무슬림 형제단이 정권을 장악할 경우 종교적 자유나 여성 인권이 후퇴할 수도 있고,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단절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 정부는 겉으로는 애써 태연자약하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이집트 대선 직후 성명을 통해 “미국은 지속적으로 이집트와 협력하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06년 무슬림 형제단의 한 분파인 하마스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집권당이 됐을 때 미국을 비롯한 서방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원조를 차단하며 압박을 가했지만 팔레스타인 내부는 미국의 의도대로 움직이지 않았다. 이 때문에 미국은 이집트에서도 이 같은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생각이 강하다.
여당 소속 존 케리 상원 외교위원장은 이달 초 이집트를 다녀온 직후 가진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은 이집트와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며 이집트에 대한 지속적인 원조에 대한 미 의회의 지원을 약속했다. 케리 위원장은 “우리가 이집트 원조를 단절한다면, 그들은 이란과 협력하는 길을 걸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2-05-2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