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北에 덜 집착..한미관계 기류 변화”

“韓, 北에 덜 집착..한미관계 기류 변화”

입력 2012-05-26 00:00
수정 2012-05-26 13: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미 관계는 지금껏 우호적이고 밀접했다. 그러나 그것이 바뀌려 하고 있다.”

미국 정치 전문 폴리티코는 25일(현지시간) 스탠퍼드대 언론학 교수이자 퓰리처상을 받은 뉴욕타임스(NYT)의 전 특파원 조엘 브링클리가 서울에서 보낸 기고문을 기사 형식으로 인터넷판에 실었다.

그는 연말 대선 투표장에서 젊은이들이 복수를 계획하고 있어, 미국이 아픔을 느낄 것 같다고 썼다.

한 대학생은 “우리는 여전히 미국(의 영향력) 아래에 있고 스스로 어떤 결정도 못 한다”며 “작전통제권과 주권을 되찾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멀리 떨어진 서방 국가 국민은 대부분 한국을 볼 때 핵무장 국가인 북한과 60년간 대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렌즈로 삼는다.

반면, 서울에서 보면 인구의 25%를 차지하는 젊은 세대는 북한에 대한 관심이 덜하며 현 정부가 북한 문제에 집착하는 것이 잘못된 정책 방향이라고 믿는다.

게다가 2만8천500명의 미군이 주둔할 이유도 별로 없다고 본다.

통일부의 한 당국자는 “젊은이들은 북한에 정말 관심이 없다. 이들은 ‘공존’이라는 옛 정책을 신뢰하는데,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면서 더는 공존이 유효하지 않다는 점을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북한이 또 다른 핵실험을 준비하는 지금도 이 전략은 먹히지 않는 것 같다.

북한은 지상에서 가장 절망적인 곳이고 인민은 말 그대로 굶어 죽어 가지만 북한 당국은 이들을 살리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남한은 자동차, 반도체, 휴대전화를 생산하는 부유한 국가다. 1인당 국민소득은 3만2천달러로 북한의 18배이며 어느 곳에서나 스타벅스, 크리스피 크림, 캘빈 클라인을 볼 수 있다.

그러니 많은 젊은이에게 대북 갈등은 베네수엘라 대통령 선거 유세처럼 멀게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햇볕정책을 선호했던 한국의 두 전직 대통령은 더 가혹한 정책을 쓰려던 조지 W. 부시 행정부와 충돌해 막연히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하기도 했다.

2008년 북한의 첫 핵실험 직후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되고 나서, 또 2010년 천안함 및 연평도 사건이 터지고 나서 한국은 대북 강경정책으로 돌아섰다.

그러나 많은 한국인, 특히 젊은 층이 이를 원하지 않아 지난해 ‘좌파 활동가’인 박원순 서울시장이 뽑혔고, 40세 이하는 70%가 그를 지지했다.

이런 추세라면 12월 대선에서 미국은 또 한 번 ‘적대적 정부’에 맞닥뜨릴 수도 있다.

지난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국회 투표에 부쳐졌을 때 당시 야당 대표는 “FTA 비준은 한국 민주주의의 죽음”이라고 했고, 다른 좌파들은 이 협정을 1910년 경술국치에 비유했다.

한국군은 징병제를 시행하는데, 요즘 신병은 엄연한 적인 북한에 대해 아는 것도 관심도 없다.

한 여대생은 “부모 세대에는 미군 상대 매춘도 많았고 한국 정부도 협조적이었다. 그게 애국으로 여겨졌었다”며 “그렇지만, 우리 세대는 북한에 무관심하고 미군이 더 머물러야 할 필요성도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