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광청 中잔류 배경
2일 베이징 미 대사관에 머물던 천광청(陳光誠)의 ‘외출’은 6일 전 그의 미국 대사관 피신만큼이나 극적으로 이뤄졌다. 미국과 중국의 전략경제대화 하루 전, 그것도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이 베이징에 도착한 지 수시간 뒤였다. 하지만 이날 천광청의 ‘외출’은 돌발적으로 이뤄진 게 아니라 미국과 중국의 타협에 따른 사전 시나리오에 의한 것이었다. 이날 밤 클린턴의 성명에서 구체적인 타협의 결과가 확인됐다.지난 며칠간 천광청 이슈는 중국의 민감한 인권문제라는 점에서 고위급 대화를 앞둔 양국 간에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했다.
미국으로서는 무엇보다 천광청이 베이징 미 대사관에 머무르는 상태에서 중국과의 고위급 대화를 추진하기가 부담스러울 뿐 아니라 심지어 불편하기까지 했을 것이라고 외신들은 분석하고 있다.
천광청의 미 대사관 체류는 이날 ‘외출’ 이전까지 양국 정부 모두 공식 확인하지 않았을 뿐이지 공공연한 사실로 통했다. 이런 상황에서 천광청 이슈를 그냥 덮어둔 채 고위급 대화를 진행한다는 것은 인권 외교를 주창하던 미국 정부로서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시나리오였을 것이다. 그렇다고 전략경제대화 테이블에서 다른 이슈들을 제쳐 두고 미국이 천광청 이슈를 꺼내는 것은 더더욱 비현실적이다. 이번 고위급 대화의 주축이 다름 아닌, 천광청을 공개적으로 지지해 왔던 클린턴 장관이라는 점에서 미국의 셈법은 더욱 복잡하게 얽혀 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후진타오(胡錦濤) 체제로서도 보시라이(薄熙來) 사태와 권력 투쟁이 불거진, 극도로 민감한 시기에 어려운 숙제에 맞닥뜨린 형국이다. 중국의 인권 문제를 거론해 온 미국의 고위 관료가 ‘안방’을 방문한 시점에 천광청 이슈가 통제불능 상태로 굴러가게 되면 주요 2개국(G2)으로서의 명분은 물론 정치적 실리까지 잃게 되는 난처한 지경에 빠질 수 있다.
결국 천광청이 미 대사관을 ‘자의’의 형식으로 벗어나 미국행 비행기는 타는 대신 중국에 남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은 양국의 이 같은 고민과 부담을 반영한 현실적인 절충안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의 미국 비난 성명도, 타협을 전제로 천광청의 미 대사관 체류를 공식화한 상황에서 당연한 체면치레인 셈이다.
특히 천광청을 만나기 위해 그 가족이 베이징의 병원으로 갈 수 있었다는 것은 중국 정부가 상당 부분 유연성을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중국 정부의 허락 없이 천광청의 가족이 이동한다는 것은 베이징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전략경제대화 이후 천광청과 그 가족이 중국의 약속대로 무사히 안착할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박찬구기자 ckpark@seoul.co.kr
2012-05-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