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3호기 격납용기 내부 방사능 첫 측정
일본의 사고 원전인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2호기의 격납 용기에서 수분 만에 사람이 사망할 수 있는 고농도 방사능 수치가 측정됐다. 원전내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로봇을 투입해도 제어회로 등 원격조작 기기가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수치여서 사고 수습을 위한 원자로 폐기 등에 걸리는 시간이 예상보다 길어질 전망이다.28일 도쿄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제1 원전 2호기의 원자로 밖을 감싸고 있는 격납용기 내에서 최대 시간당 7만 2900밀리시버트(m㏜)의 방사선량이 측정됐다고 발표했다. 사람이 6분 정도 피폭하면 바로 사망하는 수준이다. 노심용융(멜트다운) 사고가 일어난 1~3호기의 격납용기 내부 방사능을 측정한 것은 처음이다.
도쿄전력은 전날 공업용 내시경을 격납용기의 바닥 부분까지 넣고 8개 지점에서 방사선량을 측정했다. 8개 지점 가운데 바닥에서 4.2m 높이의 지점에서 방사능 수치가 최고를 기록했다.
후쿠시마 제 1원전에서 지금까지 측정된 가장 높은 방사선량은 지난해 8월 1, 2호기 주 배기관 부근의 배관에서 측정된 시간당 1만m㏜였다. 이번에 측정된 방사선량은 이전 수치의 7배가 넘는다.
격납용기의 방사선량이 높은 것은 노심용융으로 녹아내린 핵연료가 원자로의 바닥을 뚫고 격납용기로 떨어져 쌓여 있기 때문이다. 보통 원자로 가동이 정상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격납용기 내 방사선량은 0.1m㏜ 정도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1~3호기의 폐로 작업을 통해 격납용기로 누출된 연료의 회수 작업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실시해 30∼40년 후 원자로의 폐기를 종료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전자부품은 높은 방사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고장을 일으킬 수 있어 로봇을 투입한 원자로 폐기 작업이 장기간 지체될 가능성이 커졌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2012-03-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