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 가위손’

‘Mr. 가위손’

입력 2012-02-15 00:00
수정 2012-02-15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P 수석애널리스트 크래머 5년새 36차례 신용강등 단행 ‘저승사자’ vs ‘데이터 정확’ 분분

‘유로존 국가의 신용등급 무더기 강등의 배경에는 미스터 가위손이 있다.’

이미지 확대
S&P 수석 애널리스트 모리츠 크래머
S&P 수석 애널리스트 모리츠 크래머
국제신용평가사들이 재정 위기를 겪는 유로존 국가의 신용등급을 잇달아 강등하는 가운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수석 애널리스트 모리츠 크래머(45)가 ‘저승사자’로 떠올랐다. 그가 이끄는 평가팀이 유럽 각국의 신용등급 강등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 관가의 경제 분야 공무원들은 그를 마뜩잖게 흘겨보면서 신평사들의 성급함을 비판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4일 보도했다.

크래머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소재 빌딩 27층 사무실에서 팀원 10여명과 유로존 국가들의 움직임을 유심히 모니터하고 있다. 독일 출신답게 치밀함과 냉혹함을 두루 갖췄다는 평을 받는 그는 미국 워싱턴의 미주개발은행에서 잠시 근무한 뒤 2001년부터 S&P에서 일하고 있다. 크래머는 2007년 이후 유로존 국가의 신용등급을 36차례나 끌어내린 탓에 일부 국가 정책담당자들로부터 ‘가위손’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진짜 손 대신 가위손을 가진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 미국 판타지 영화 ‘가위손’에서 따온 말이다.

S&P의 신용등급 강등 결정 탓에 국가 경제에 타격을 입게 된 국가의 관료들은 ‘화풀이 대상’으로 크래머를 지목한다. 그의 결정은 국채 금리에 큰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투자자들의 태도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등 파장이 크다. 크래머는 쏟아지는 스포트라이트가 달갑지 않다. S&P는 “신용등급 결정은 개인이 아니라 위원회가 내린다는 것을 강조해 주기 바란다.”고 언론에 부탁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신평사가 국가 신용등급을 강등하면서 너무 거만하게 일처리를 한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크래머의 동료와 일부 유로존 국가 관료들은 크래머가 유럽 국가의 신용등급 업무를 다룰 적절한 인물이라고 감쌌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2-02-1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