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스라엘 ‘이란 핵보유 차단 → 대비’ 전략 전환

이스라엘 ‘이란 핵보유 차단 → 대비’ 전략 전환

입력 2012-01-11 00:00
업데이트 2012-01-1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란 포르도 산악 핵시설 주목 1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이란의 새 우라늄 농축 사실을 확인하면서 이스라엘의 움직임이 분주해졌다. 이란이 1년 내 핵실험을 실시할 것으로 보고 핵보유에 대비하는 전략을 짜기 시작했다. 이스라엘은 중동 내 아랍국들로부터 ‘적’으로 취급당하는 탓에 주변국의 핵개발에 깊은 공포를 품는다. 이 때문에 과거 시리아 등의 핵시설을 공습했던 것처럼 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을 공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다시 나온다.

이미지 확대
이스라엘 안보의 싱크탱크인 국가안보연구소(INSS)는 최근 전직 국방·외교 관료들의 요청을 받아 이란의 핵실험 이후 시나리오를 마련했다고 10일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보도했다. 이스라엘은 그동안 이란의 핵보유 차단에 주력해 왔다. 그러나 IAEA가 지난해 11월 “이란이 군사 용도의 핵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주장하면서 ‘핵 보유국 이란’에 대비하는 쪽으로 정책을 전환한 것으로 해석된다.

INSS는 보고서를 통해 “이란이 걸프만 주둔 미 해군 제5함대를 겨냥해 도발하거나 이라크 인접 국경선 조정 요구 등을 하면서 내년 1월쯤 핵실험을 실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란이 핵을 보유하면 미국은 이스라엘에 방위조약 체결을 제안하고 대응 공격에 나서지 말라고 당부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또 인접국인 사우디아라비아도 핵프로그램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스라엘은 또 이란이 핵개발과 관련해 ‘레드라인’(금지선)을 넘었는지를 두고 고심에 빠졌다고 이스라엘 일간 예루살렘포스트가 보도했다. 만약 금지선을 넘었다고 판단하면 군사적 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커진다. 리언 패네타 미 국방장관은 최근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원치 않는다는 것이 미국과 이스라엘의 레드라인”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스라엘이 이란 포르도의 새 핵시설을 다른 핵시설보다 민감하게 여기는 것은 핵시설의 특성 때문이다. 포르도 지하벙커는 산악지대 수백m 지하에 조성됐다. 향후 이란의 핵무기 개발이 공식화돼 이스라엘 등이 부셰르와 나탄즈 등 이란의 핵심 핵시설을 공습으로 파괴한다 해도 지하벙커에서 핵개발을 지속할 수 있다. 또 포르도의 핵시설에서는 20% 농도의 농축 우라늄 생산이 가능한데 전문가들은 20% 농도의 우라늄 생산에 성공한 것만으로도 핵무기 개발의 90%를 해낸 것으로 본다.

이스라엘은 과거에도 금지선을 넘어섰다고 판단한 이웃국의 핵시설을 폭격한 경험이 있다. 2008년 9월 시리아의 핵시설로 의심되는 건물을 폭격기로 파괴했다. 당시 이스라엘 정보기관은 시리아의 핵시설 건립이 상당한 수준까지 진행됐다고 판단했다. 앞서 1981년 6월에는 이라크의 오시라크 원자로를 폭격했다. 이스라엘은 이란의 핵시설에 대해서도 2009년 미국에 벙커버스터(지하 침투용 무기) 미사일 공격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하는 등 공격을 준비한 적이 있다.

미국 등 서방권도 이란의 핵개발 저지를 위한 공습 가능성을 연일 거론하고 있다. 데니스 로스 전 백악관 중동담당 특별보좌관은 9일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란에 대한 제재나 외교적 노력이 실패하면 오바마 대통령이 군사력을 쓸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을 의심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예루살렘포스트는 “이란에 대한 공습이 미국과 이스라엘에 엄청난 비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커 (공습을 위해) 당장 전투기에 연료를 주입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분석했다.

한편 유럽연합(EU)은 이란산 석유 수입 금지 여부 등을 결정할 EU 외무장관 회의를 예정보다 1주일 앞당긴 오는 23일 열기로 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2-01-11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