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총재 “자유시장 개념 낙후됐다”

IMF 총재 “자유시장 개념 낙후됐다”

입력 2011-04-05 00:00
수정 2011-04-05 1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 거시경제틀 초점, 시장에서 국가로 이동할 것”

국제통화기금(IMF)의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총재는 지난 30년 이상 자유시장 원칙의 기반이 돼온 ‘워싱턴 컨센서스’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선언했다.

내년의 프랑스 대통령 선거 출마를 위해 곧 총재직에서 물러날 것으로 널리 관측돼온 스트로스-칸은 4일 워싱턴의 학생 회동에 참석해 “워싱턴 컨센서스가 이제는 낡은 개념”이라면서 “새로운 거시경제 틀을 만드는 작업에서 시계추가 최소한이라도 시장에서 국가 쪽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록 세계화가 몇억명을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기기는 했으나 동시에 어두운 측면도 있다”면서 “빈부 격차 확대 등이 그것”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사회적 융합과 금융규제 강화에 더 많은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지적한 스트로스-칸은 “장기적 관점에서 더 평등한 소득 분배가 병행되면서 지탱 가능한 성장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위험 감수 투자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일부 부담시키는 금융세 도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옥스팜과 액션에이드, 시에라레온 등 모두 58개 비정부기구(NGO)는 4일 낸 공동 성명에서 IMF가 보유금 가운데 400t 가량을 매각해 얻은 이익을 빈국 채무 탕감에 투입하라고 촉구했다.

성명은 “도덕적 선택은 분명하다”면서 “IMF가 최빈국들의 채무를 탕감하고 그들이 난국을 타개할 수 있도록 비용 부담없이 지원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소식통들은 IMF가 지난 2009년 9월 보유금 일부 매각을 발표했음을 상기시키면서 당시 보유금의 8분의 1 가량에 해당하는 403t을 처분해 최대 28억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