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어느 날 루게릭병 진단을 받았다

완벽한 삶을 살고 있던 아름다운 여인 ‘케이트’는 어느 날 청천벽력처럼 루게릭병 진단을 받는다. 가장 행복한 순간에 찾아온 비극 앞에서 케이트는 그저 좌절할 수밖에 없다. 그런 그녀 앞에 인생도 성격도 모두 꼬여 버린 간병인 ‘벡’이 나타난다. 공통점이라고는 거의 없지만,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동안 두 여자는 어느새 서로를 닮아가게 된다.



‘유 아 낫 유’(22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는 전신불수가 된 사업가와 천방지축 간병인이 우정을 쌓아가는 ‘언터처블: 1%의 우정’(2011)의 여성판과도 같은 작품이다. 조용하고 잘 정돈된 케이트의 공간과 시끄럽고 산만한 벡의 공간이 교차되는 장면은 경제력이나 문화적 차이뿐 아니라 둘의 대비되는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가 절실히 필요했던 두 사람은 인내와 노력으로 크고 작은 갈등을 극복해 간다.

영화는 먼저, 서서히 죽음의 그림자 안으로 들어가는 케이트의 내면을 조명한다. 그녀의 가슴 속에는 죽어간다는 슬픔과 함께 누군가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한 시도 버틸 수 없는 특수한 병에 대한 수치심과 죄책감이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처음에는 남편에게, 나중에는 벡에게 작동하는 이 감정은 타인들까지 자신의 상황에 끌어들이지 않으려는 몸부림 섞인 배려로 표출된다. 하지만 그럴수록 케이트는 수축된 근육만큼 작은 우주에 갇히게 되고, 벡은 그녀가 끝까지 생을 포기하지 않고 세상과 소통하면서 살도록 그녀를 붙들어 준다.

고등학교 졸업 후, 방황을 거듭하고 있던 벡에게도 케이트와의 동행은 인생의 의미를 발견하는 유의미한 시간이다. 손과 발은 물론, 목소리까지 대신하며 헌신적으로 케이트를 돌보는 동안 벡은 자신이 누군가에게 의지와 희망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래서 상대방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는 것은 환자가 아닌 간병인이다. 인생의 한순간이라도 낭비하고 있지 않다는 생각이 들게 해준 케이트가 벡에게는 누구보다 특별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피아니스트였던 케이트와 가수 지망생인 벡의 유일한 교집합은 음악이다. 영화는 음악을 통해 두 사람이 교감하는 모습을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함께 신나는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장면에서 케이트는 장난스럽게 리듬을 타고, 두 사람이 손을 겹친 채 피아노 건반을 누르는 장면에서 벡의 눈빛에는 어느덧 성숙함이 묻어난다. 이 두 신은 케이트가 병에 걸린 후 가장 행복한 표정을 짓는 부분이기도 하다. 영화는 벼랑 끝에서 만난 사람들이 진정한 ‘관계’를 맺게 되는 순간, 그리고 한 사람의 죽음과 다른 한 사람의 성장이 오버랩되는 순간을 포착하면서 삶의 참된 가치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22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