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학살’ 주인공들이 재연한 그날의 만행

20일 개봉한 ‘액트 오브 킬링’은 1965년 인도네시아의 군부 쿠데타 이후 일어났던 무자비한 공산주의자 학살 사건에 관한 다큐멘터리다. 완전히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160분간의 러닝타임은 가해자들이 실화를 재연하는 영화 제작 과정을 담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인간의 실체를 벌거벗긴다. 역사가 뚜렷이 증명하고 영화로 생생히 재연된 인간의 비정함이 경악스럽다. 그러나 불편하다는 이유로 이 영화에 등을 돌린다면 여전히 진실을 묵인한 채 스스로를 정당화하고 있는 가해자들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이것은 비단 인도네시아의 역사가 아니라 권력 유지를 위해 수없이 많은 국가에서 자행되고 되풀이돼 왔던 반인권적 탄압에 관한 이야기임과 동시에 바로 우리 안에 꿈틀대는 이기주의와 사디즘을 다루고 있는 영화라는 점에서 더욱 면밀히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액트 오브 킬링’의 주인공이자 재연 영화의 주인공인 ‘안와르 콩고’는 군부 독재에 저항하는 민간인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 수없이 학살한 장본인이다. 그가 속해 있던 ‘프레만’이라는 무장단체는 정치 세력의 비호를 받으며 끔찍한 만행을 저질렀고, 그 대가로 부와 권력을 축적한다. 조슈아 오펜하이머 감독은 프레만들이 자신들의 과오를 전혀 뉘우치지 않고 오히려 자랑스럽게 여긴다는 점에 착안해 그들을 주인공으로 영화를 찍기로 한다. 영화사에서 익히 봐 왔듯이 감독이나 배우들이 자기 반영적 영화를 찍는 과정은 성찰을, 그 영화를 관람하는 행위는 일종의 소격 효과(Verfremdungs effekt)를 동반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프레만들은 영화를 찍는 동안 끊임없이 자기 모순에 빠지면서도 온갖 궤변과 합리화로 반성의 씨앗을 제거해 버린다. 이러한 그들의 태도는 무장단체들과 결탁한 정권이 지금까지 권력을 장악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승자가 써 내려간 역사는 그들에게 면죄부를 주었을 뿐만 아니라 살인을 영웅적 행위로 승화시켰던 것이다.

학살 재연 영화는 잔혹한 고문과 살인, 방화 신(scene)들 중간에 초현실주의적인 장면들을 삽입시킨다. 칠이 다 벗겨진 흉물스러운 물고기 조형물과 그 입 안으로부터 뻗어 나온 레드카펫 위에서 춤을 추는 현란한 복장의 인물들, 그리고 폭포를 배경으로 피해자들에게 메달을 받는 안와르의 성자 같은 모습 등은 인도네시아의 역사가 만들어 낸 야만적 우화의 이미지들이다. 여기에 가끔씩 오리, 원숭이, 박제된 동물 등을 비추며 상징성을 부여하는 것도 극영화와 다큐의 경계를 자유로이 넘나드는 이 영화의 미학성을 잘 보여 준다.

천만다행이랄까. 안와르는 촬영을 진행하는 동안 천천히 죄의식을 가지기 시작한다. 수많은 사람을 무심히 죽였던 장소에서 내장 깊은 곳으로부터 토악질을 해 대는 그의 모습이 가련하다. 인간성의 상실은 피로 얼룩진 역사의 원인이자 결과임을 이토록 강렬하게 표현한 작품이 있었던가. 역사와 인간의 본질을 공히 꿰뚫는 감독의 통찰력과 연출력에는 그 어떤 찬사도 아깝지 않다. 15세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