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개봉 中영화 37편… 점유율 0.3%

그러던 시절이 있었다. 검은색 안경을 쓰고 성냥개비를 질근질근 씹으며 ‘영웅본색’ 저우룬파(周潤發)를 흉내 내고, 청룽(成龍)의 몸짓을 따라하려는 더벅머리 중고생들은 합기도 도장에 넘쳐 나고, ‘천장지구’ 속 류더화(劉德華)처럼 눈에 힘을 잔뜩 준 채 방황하고 반항하는 청춘의 시간들을 아파하며 통과했던 그런 시절이었다. 세상은 바뀌었다. 1990년대 초중반까지 구름 같은 관객을 몰고 다녔던 홍콩 뉴웨이브 영화는 더 이상 기를 펴지 못한다. 중국 영화도 마찬가지다. 올해 개봉된 중국 영화는 모두 37편이다. 관객 49만명으로 관객점유율 0.3%다. 지난해 통계를 봐도 비슷하다. 33편이 개봉됐고 역시나 0.3%의 관객점유율을 기록했다. 사실상 철저히 외면받고 있는 셈이다.


올해 한국 영화시장은 국내 영화가 50.8% 이상, 할리우드 영화가 44.6%다. 사실상 두 나라 영화가 반분하고 있는 셈이다. 물론 중국 영화를 보지 않아도 문제는 없다. 하지만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중국 시장 진출을 준비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중국 관객들의 이해와 취향을 분석해야 할 이유가 분명해진다. 두 나라의 영화를 바라보는 눈이 워낙 다르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거장 장이머우(張藝謀) 감독이 연출하고 역시 세계적 지명도를 가진 여배우 궁리(鞏利)가 출연한 ‘5일의 마중(사진 위)’은 1960년대 문화대혁명 시절 헤어져야 했던 부부의 애틋한 이야기다. 혼란의 시대를 허위허위 살아야 했던 개인들의 무기력함과 그 속에서도 결코 훼손되지 않은 인간의 본성을 다뤘다. 자극적인 서사는 없지만 장 감독의 연출력과 궁리의 열연이 돋보이는 아름다운 예술영화로 분류되며 중국에서는 호평이 이어졌고 4억 8000만 위안(약 860억원)에 달하는 흥행 성적을 거뒀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5만명을 겨우 넘긴 정도다. 또한 여러 국제영화제 심사위원장을 맡는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쉬안화(許鞍華) 감독의 ‘황금시대’는 신중국 이전을 살던 천재 여류 문인의 이야기다. ‘국민 며느리’ 탕웨이(?唯)가 출연했고 감독과 탕웨이가 부산국제영화제에 직접 오는 등 홍보에도 적극성을 보였지만 한국 시장에서는 1만 8000명 관객에 그쳤다.

상업영화 쪽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오기환 감독이 연출한 한·중 합작영화 ‘이별계약(아래)’은 중국에서 2억 위안(약 360억원)에 가까운 수익을 올리는 등 엄청난 흥행 돌풍을 일으켰고 오 감독의 몸값도 훌쩍 치솟았다. 그럼에도 한국 영화 시장에서의 성적은 초라하기 짝이 없다. 애잔한 청춘 로맨스는 중국 관객들의 정서에 부응했지만 한국에서는 2만명도 보지 않은 채 스크린에서 내려야 했다.

중국 관객과 한국 관객의 영화 취향이 얼마나 다른지 고스란히 보여 주는 대표적 사례들이다. 또한 한·중 FTA 체결 이후 본격적으로 중국 영화시장 진출을 준비 중인 한국 영화업계에서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부분이다.

이에 대해 전찬일 영화평론가는 중국 영화시장 및 중국인들에 대한 철저한 분석 및 맞춤형 콘텐츠 준비를 주문했다. 그는 “중국인과 한국인이 갖고 있는 정서와 성향이 너무 달라 두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먹힐 영화를 만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며 “보편적인 정서를 갖고 세계시장을 겨냥해 만든 중국 영화라면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제작한 영화라면 앞으로도 한국에서 잘되기는 더욱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는 한국 영화가 중국에 진출할 때도 똑같이 적용된다”면서 “큰 시장이 열렸다고 막연히 좋아만 할 게 아니라 중국 영화 시장을 분석해서 맞춤형 콘텐츠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