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이 서울 용산기지에서 탄저균 실험을 15차례나 실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한 차례 탄저균을 반입했지만 이 사실을 우리측에 통보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탄저균 실험이 올해 오산기지에서 처음 진행됐다는 주한미군의 주장은 거짓으로 판명됐다.

지난 5월 발생한 주한미군 오산기지의 탄저균 배달사고를 조사해온 한미 합동실무단은 17일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합동실무단에 따르면 주한미군은 지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용산기지에서 모두 15차례의 사균화된 탄저균 검사용 표본을 반입해 분석하고 식별장비의 성능을 시험했으며 교육훈련도 진행했다.

이들 실험은 용산기지 내의 한 병원에서 이뤄졌으나 현재 이 병원은 없어졌다. 합동실무단은 15차례 실험에 사용된 탄저균의 양은 군사기밀로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과거 주한미군에서 실험이 이뤄진 사실은 미측이 제출한 실험 관련 자료에서 확인됐다.

미국 메릴랜드주 에지우드화생연구소에서 발송된 탄저균 표본(1㎖)이 지난 4월 29일 오산기지에 반입돼 실험된 것까지 합하면 한국에서 이뤄진 탄저균 실험은 모두 16차례다.

에지우드화생연구소가 4월 24일 사균화된 탄저균을 오산기지로 발송하면서 페스트균 표본(1㎖)을 함께 보낸 사실도 드러났다.

이 샘플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규정에 따라 3중 포장돼 민간물류 운송업체(FedEx)에 의해 4월26일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이틀 뒤 샘플은 한국세관에 주한미군용으로 수입신고됐으며 29일 주한미군 오산기지로 배송됐다.

이 과정에서 주한미군은 탄저균과 페스트균 반입 사실을 우리측에 통보하지 않았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