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며 제로금리 시대 마감을 선언했다.

미국이 기준 금리를 올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7년 동안 유지했던 ‘제로 금리’ 시대를 마감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16일(현지시각) 금리 결정 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현재의 0.00%∼0.25%에서 0.25%∼0.50%로 0.25% 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린 건 2006년 6월 이후 9년 6개월 만이다.

연준은 성명을 내고 “올해 고용 여건이 상당히 개선됐고 물가가 중기목표치인 2%로 오를 것이라는 상당한 확신이 있다”며 제로금리 시대 마감 배경을 설명했다. 또 “이번 인상 후에도 통화정책의 입장은 시장 순응적으로 남을 것”이라고 밝혀 내년에도 점진적으로 금리를 올려 갈 것임을 시사했다.

연준이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를 떠받치기 위해 취했던 조처인 ‘비정상적’ 제로금리 시대 마감을 공식 선언함에 따라 세계 경제는 새로운 도전을 맞게 됐다. 미국이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취하게 되면서 세계 경제의 성장 속도가 둔화될 가능성이 커졌으며 신흥국에서의 달러 자금 유출 등 충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특히 1천1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의 부담 등에 눌려 경기회복이 더딘 한국경제도 수출이 타격을 받거나 금리인상의 선택에 내몰리는 등 제한적이나마 부담을 안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연준의 제로금리 시대 마감 조치는 사실상의 완전고용(실업률 5%)에 더해 중기 목표치인 2%에는 못 미치지만 물가의 상승기조 등 견고한 경제상황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미국 경기회복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는 평가도 제기된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