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둥거려도 좋다, 청춘아 반달곰처럼 멸종하지만 말아다오

서울독립영화제는 한 해 동안 만들어진 독립영화가 모여 축제를 벌이는 공간이다. 축제의 마지막 날에는 참여 작품 중 수상작을 선정해 기쁨을 나눈다. 지난해 말에 열린 ‘서울독립영화제 2012’에선 신예 이정홍 감독의 ‘해운대소녀’가 대상을 받았다. 이 작품의 길이는 단 5분. 지금은 다수 단편영화가 쉽게 수십분을 넘기는 디지털 시대다. 작품의 길이와 작품성의 상관관계를 염두에 두지 않더라도, 상영시간이 5분에 불과한 영화가 어지간한 장편과 단편영화들을 제치고 대상을 받았다는 사실이 놀랍다. 도대체 얼마나 잘 만들어진 작품이기에?

소녀 이름은 최서영. 엄마와 아빠가 서영과 살짝 떨어진 곳에서 채근 중이다. 뒤로는 스케이트보드를 즐기는 아이들과 잔잔한 바다와 높이 치솟은 빌딩들이 보인다. 풍경 속에 외롭게 선 소녀는 아무 말도 하지 못한다. 아빠는 소녀에게 자신감이 모자란다며 화를 낸다. 소녀가 무엇 때문에 그리 곤란한지 알게 되자, 나는 슬며시 쓴웃음을 지어야 했다. 한국 교육의 현실, 우열의 개념이 분명하게 규정지어진 사회, 부모와 아이의 억압적 관계를 ‘해운대소녀’는 단 5분의 그릇 안에서 압축적으로 드러낸다. 여름날, 바람처럼 자유로워야 할 바닷가 소녀는 짓눌린 채 땀을 뻘뻘 흘리고 있었다.

‘해운대소녀’로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영광을 안기 전, 이정홍은 ‘반달곰’이라는 50분짜리 중편영화를 연출했다. ‘반달곰’은 한겨울 잠에서 깨어난 곰 같은 청년 원석의 이야기다. 원석의 누이는 친구가 운영하는 치킨가게에 동생을 맡긴다. 추운 날씨에 힘들까 봐 비싼 외투까지 사 입혔다. 그러나 일에 별 재미를 못 느낀 원석은 PC방에서 놀다 배달용 스쿠터의 열쇠를 잃어버린다. 원석은 괜히 화가 난다. 일하라고 떠민 누이가 밉고, 형 노릇 하려는 가게 사장이 밉고, 버릇없이 구는 동네 아이들도 밉다. 사실 누구보다 미운 건 아무것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자신이다.

바닷가에서 난처한 표정으로 서 있던 서영의 옆얼굴이, 얼어붙은 길 위를 떠도는 원석의 뒤통수 위로 겹친다. 소녀 곁에 눈을 부라리고선 어른이 ‘반달곰’에선 스크린 바깥으로 잠시 밀려났을 뿐이다. 한국의 잘난 기성세대는 원석을 보며 혀를 끌끌 찰 것이다. 다 큰 사내 녀석의 하루 일과라고 해봐야 PC방에서 게임하다 그것도 심심하면 만화를 보는 게 전부다. 애당초 일을 하고픈 열정은 시들어 있고, 책임감과 융통성과 붙임성이 없는 원석에게 예쁜 구석이라곤 없다. 그런데 원석의 모습은 이 시대를 사는 수많은 청춘의 초상이기도 하다. 어떻게 할 것인가. 그저 흘겨보며 흉이나 볼 텐가.

‘반달곰’은 인물의 앞을 가로막는 법이 없다. 언제나 인물의 뒤에 바짝 붙어 말과 행동을 꼼꼼히 관찰한다. 청춘의 희망과 미래에 대해 미사여구를 보태지 않으며, 인물에게 비극적 결말을 부여해 장르적으로 이용하지도 않는다. 그러다 밤길을 걸어 가게로 되돌아간 원석이 “열심히 할게요”라고 말하는 걸 물끄러미 바라보는 순간, 울컥 말문이 막힌다. 그건 성장이라기보다, 너덜너덜한 현실을 두고 길을 되묻고 싶은 청춘이 내뱉는 천 근짜리 한숨이다. 정신을 번쩍 차린 건 그가 아닌 나였다. 나는 기도했다. 그가 반달곰처럼 멸종하지 않기를. 그가 겨울잠을 마치고 봄바람을 맛보기를. 지난 4일 개봉했다(인디스페이스 단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