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설펐던, 아팠던… 스무살

뉴욕 인디영화계의 유명 감독 위트 스틸먼이 신작을 발표했다. 1998년 ‘디스코의 마지막 나날들’ 이후 무려 13년 만이다. 그동안 프랑스 파리에 머물면서 영화 작업을 계속 시도했으나 사정이 여의치 않았다고 한다. 한국 관객에게 스틸먼은 홈비디오로 익숙한 감독이다. 데뷔작 ‘메트로폴리탄’을 제외하고 ‘바르셀로나’와 ‘디스코의 마지막 나날들’이 홈비디오로 소개된 바 있다. ‘방황하는 소녀들’의 운명도 다르지 않아 개봉 없이 홈비디오로 직행했다. 지난해 베니스 국제영화제의 폐막작 ‘방황하는 소녀들’은 미국에서도 대도시의 예술영화 팬들과 조용히 만났다. 물론 흥행 성적은 영화의 작품성과 상관없다. 대학 생활을 다룬 수작의 반열에 오를 만하며 눈 밝은 몇몇 외국 평론가는 이미 올해의 영화로 뽑았다.


‘세븐오크스대학교’에 편입한 릴리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세 여학생과 만난다. 그들은 함께 어울리면 좋은 일이 생길 거라고 제안하고, 마침 기숙사 배정에 문제가 생긴 릴리는 방을 나눠 쓰게 된다. 넷의 작은 서클은 방황하는 청춘의 멘토로 활약하겠다는 야무진 꿈을 꾼다. 또래와 정신연령이 다르다는 자부심을 지녔던 그들은 사소한 일로 위기에 처한다. 바이올렛은 남자 친구가 떠난 뒤에야 그를 사랑했음을 깨닫고, 릴리는 친구로 알던 남자와 새롭게 접근하는 남자 사이에서 망설인다. 여기까지 보면 로맨스 드라마로 착각할 법하지만 11개의 소제목 아래 전개되는 영화는 싸구려 코미디와 격이 다르다. 혹시 웨스 앤더슨 풍의 우울하고 지적이며 세련된 코미디를 좋아한다면 망설이지 말고 ‘방황하는 소녀들’을 선택할 일이다.

젊은이의 심리와 행태를 그려 온 스틸먼은 예순을 넘긴 지금 더욱 젊은 인물에게로 다가갔다. 영화의 중심에는 이십대 초반의 여학생이 있으며 위기 제공자로 두어 남학생이 배치된다. 순수하면서도 반쯤 정신 나가 보이고, 고집이 세면서도 불안에 흔들리는, 미래와 현실에 대해 잘 모르면서도 근거 없이 확신하는 인물들이 영화의 주인공이다. 스틸먼은 성인들이 기억에서 지워버린 그 시기를 불러내 생생한 대사로 활력을 부여한다. 좋은 사람이 될 가능성이 충분하지만 어떻게 변할지 아무도 모르는 시기. 결말에서 두 여주인공은 다른 길로 접어든다. 소수의 개성을 간직한 바이올렛에게 릴리는 평범한 다수의 길을 택하겠다고 말한다. 영화는 딱히 누구의 편을 들지 않는다. 그건 영화 이후의 이야기니까. 영화는 그들이 갈라지기 전에 보낸 혼란스러운 시기를 비범하게 잡아낼 뿐이다.

단역으로 보이던 인물을 이야기의 중심으로 끌고 오는 데서 영화의 매력이 발휘되며 그들이 함께 엮는 클라이맥스는 영화의 백미다. 얼간이들의 집합으로 보일지 모르나 알을 막 깨고 나오는 순간의 설렘과 환희를 잘 포착했다. ‘방황하는 소녀들’은 마지막 순간에 현실에서 벗어나 뮤지컬의 꿈으로 접어든다. 그건 영화가 현실과의 접점에 선 인물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위안으로 보인다. 프레드 아스테어의 출연작에서 제목을 따왔고 ‘위대한 환상’ ‘롤라 몽테’의 포스터를 붙여 놓는 등 영화에 대한 사랑을 내내 고백하던 영화는 아스테어와 진 켈리의 뮤지컬에 헌사를 바치는 장면으로 정점에 오른다. 인물들의 맑은 얼굴에서 사라진 과거와 재회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