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영화제 카날플러스상 수상

‘길’이든 ‘천직’이든 때론 늦게 나타나기도 한다. 또 우연한 선택이 결과를 바꿔 놓기도 한다. 그도 그랬다. 서울대 독어교육과를 졸업했다. 독어 교사로 발령이 나지 않아 복수로 취득한 사회 과목을 가르쳤다. 그렇게 10년이 흘렀다. 그런데 그는 글을 쓰고 싶었다. 이미 1991년 청소년 소설 ‘날마다 자라는 느낌표’를 발표할 만큼 쓰는 데 대한 갈망이 컸다. 특히 시나리오에 끌렸단다. 덜컥 휴직계를 냈다. 서른셋이던 2000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전문사 과정에 입학했다. 그런데 웬걸. 수업 시간에 단편영화를 한두 편 찍다 보니 시나리오보단 연출에 본능적인 끌림이 있었던 걸 뒤늦게 깨달았다.

신수원 감독은 한예종 시절 은사인 홍상수 감독과 이번 칸영화제 ‘한국영화의 밤’ 행사에서 재회했다. 그는 “그때도 홍 감독님은 ‘작가는 빨리 써야 한다. 그건 반드시 지켜야 하는 원칙’이란 말씀을 곧잘 하셨다.”며 웃었다.
그리고 12년이 흘렀다. 지난달 프랑스에서 열린 제65회 칸국제영화제의 관심사는 적어도 한국에서는 경쟁부문에 나란히 오른 ‘두 상수’(홍상수·임상수)의 수상 가능성에 쏠렸다. 하지만 상을 받은 건 무명의 40대 여성 감독이었다. 비평가주간 단편부문 1등상 격인 카날플러스상을 받은 ‘써클라인’의 신수원(45)이 주인공이다. 유럽 최대 케이블 방송사 카날플러스가 후원하는 상인데 6000유로(약 880만원) 상당의 장비를 지원받고, 수상 작품은 카날플러스 채널을 통해 유럽 전역에 공개된다. ‘써클라인’은 중년 가장이 임신한 아내와 딸에게 실직 사실을 숨긴 채 지하철 2호선(순환선)을 타고 하루를 보내면서 만난 인간 군상과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일을 담고 있다. 차기 작 ‘명왕성’의 촬영 시작을 앞두고 분주한 신 감독을 지난 1일 서울 잠원동 SH필름에서 만났다.

●“수상 예정 엠바고 요청… 가족한테만 살짝”

비평가주간 시상은 경쟁부문 폐막보다 이틀 앞선 지난달 24일 있었다. 신 감독은 애초 24일 귀국 예정이었다. “22일 주최 측에서 전화가 왔어요. 출국 일정을 늦춰 달라고. 왜 그러냐고 그랬더니 수상을 할 텐데 24일까지 엠바고(보도유예)를 지켜 달라더군요.” 그는 정말 엠바고를 지켰을까. “가족들한테만 문자로 살짝 알렸다.”며 슬며시 웃었다.

아직 조금은 얼떨떨한 모양이다. 그럴 법도 했다. 멀쩡하게 잘 다니던 학교에 사표를 던진 지 10여년이 흘렀다. 그때만 해도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릴지 남편과 두 아이는 물론 본인도 짐작조차 못 했을 터. “한예종에 원서를 낼 때, 1년 뒤 교육청에 사표를 낼 때 고민을 많이 했죠. 처음에는 ‘간’만 보자는 생각이었어요. 그런데 막상 해 보니까 뭔가를 만들어 내는 게 아주 좋았고, 이게 내 길이다 싶은 거죠. 고등학교나 대학교 땐 공부하는 게 더 편하다고 생각해 교사의 길을 택했는데 길을 잘못 들었던 거예요.”

2003년 단편 ‘면도를 하다’ 이후 공식 기록이 없다. 감독에게 필모그래피가 없다는 건 본격적으로 고생길이 열렸다는 얘기다. 신 감독은 “두 번쯤 엎어졌다(영화 제작이 중단됐다는 뜻). 첫 번째는 초기 투자까지 이뤄졌는데 흐지부지됐고, 두 번째도 시나리오를 계약까지 했는데 안 풀렸다. 상업영화 준비하는 데 2~3년씩 걸리니까 나처럼 두 편이 엎어지면 5년쯤은 훌쩍 지나간다.”라며 씁쓸한 기억을 떠올렸다.

실직 가장의 하루를 그린 ‘써클라인’.
●“일기장 보니 그만둘까 생각도 했더라”

조금씩 초조해졌다. 맞벌이 때에 비하면 살림살이도 팍팍해졌다. 그는 “그만둘까도 생각했다. 사표를 냈기 때문에 다시 교사를 하려면 임용고시를 봐야 한다. 기간제 교사는 할 수 있지만 그건 젊은 친구들 위주다. 한 번도 후회한 적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예전 일기장을 보면 그런 고민을 했더라.”고 털어놓았다.

악전고투의 연속이었다. 그러다가 영화감독을 꿈꾸는 평범한 30대 아줌마의 실패담을 다룬 자전적인 장편영화 ‘레인보우’를 찍은 게 2009년. 이듬해 전주국제영화제 장편부문과 도쿄 국제영화제 아시아의 바람 부문 최고상을 받았다. 그는 “꼭꼭 묻어 둔 퇴직금에 지인에게 빌린 1000만원 등을 보태 4700만원으로 찍었다. 첫 장편인데 상도 받고 극장 개봉도 하면서 비로소 자신감이 생겼다. 그런데 상금은 후반 작업에 쓰고, 투자받은 돈 갚느라 다 날렸다. 한 푼도 챙긴 건 없다.”며 웃었다.

●“차기작 ‘명왕성’ 내 영화 중에선 최대규모”

차기 작 ‘명왕성’은 명문고에서 입시를 둘러싼 치열한 경쟁이 불러일으킨 사건을 다룬다. 10년을 교육현장에서 보낸 그의 경험이 오롯이 녹아든 작품이다. 저예산 영화라고는 하지만 고교생으로 등장하는 김꽃비, 이다윗, 성준과 조성하, 황정민 등 묵직한 조연까지 나선다. 기대치를 한껏 높이는 탄탄한 캐스팅이다.

‘블록버스터급 캐스팅 아니냐’고 장난처럼 물었다. 신 감독은 “30회차 촬영(장편영화 평균은 40~60회차, 대작은 80~90회차까지 찍는가 하면, 홍상수·김기덕 감독은 10회차 안팎이다)이니 블록버스터는 아니지 않나.”라면서 “지금껏 내 영화 중 최대 규모인 것만은 틀림없다. 투자가 덜 된 상황인데 수상 소식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사표를 던질 때 품은 꿈은 이룬 것일까. “글쎄… 영화감독의 꿈은 이뤘지만 이 바닥이 워낙 금방 잊혀지는 곳 아닌가. 현장에선 모두가 감독만을 바라본다. 항상 긴장하고 있다.”

글 사진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