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 한국 드라마 이대로 좋은가] (상) 열악한 제작 현실

얼마 전 인기리에 끝난 화제작 ‘시크릿 가든’의 주연배우 하지원은 “늘 시간과의 싸움이었다.”고 두달간의 촬영을 돌이켰다. 앞서 고현정은 ‘대물’을 끝내면서 “정말이지 한국 드라마는 말도 안 되는 상황에서 만들어지고 있다.”고 뼈 있는 한마디를 던졌다. 용어조차 생소했던 1990년대, 한류 붐을 일으킨 한국의 드라마는 21세기 들어 위상과 품질이 크게 향상됐다.
꽃보다 남자 구혜선
하지만 제작 환경은 여전히 후진적인 스타일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생방송을 방불케 하는 여건과 배우들의 ‘링거 투혼’에 의존하는 구태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주연배우 정우성의 부상으로 25일 방송분을 결방한 SBS 월화 드라마 ‘아테나:전쟁의 여신’이 대표적인 예다.

정우성은 지난 23일 밤 액션 장면을 촬영하다 무릎을 크게 다쳤고, 동료 배우 정찬우도 타고 있던 차량이 부서지면서 부상을 입었다.

배우들의 부상에 따른 드라마 결방 사태는 ‘아테나’가 처음은 아니다. 2008년 10월에도 SBS 드라마 ‘바람의 화원’에 출연했던 문근영이 촬영 도중 코뼈가 부러지는 사고로 인해 이틀 분을 스페셜 프로그램으로 대체 편성해야 했다.

2009년 3월 KBS 드라마 ‘꽃보다 남자’도 여주인공 구혜선이 교통사고를 당해 특집 편을 내보냈다.
결방 사태까지는 가지 않았지만 방영 중인 SBS 수목 드라마 ‘싸인’도 주인공 박신양이 일본 촬영 도중 종아리 근육이 경직되는 부상으로 목발 신세를 진 채 어렵사리 촬영을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배우들의 부상이 속출하는 것은 사전 제작제가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한된 시간에 드라마를 급하게 찍어야 하기 때문이다.

일부 사전 제작을 한 뒤 방송을 시작한 경우에도 몇회 지나면 ‘생방송’ 현장처럼 된다는 것이 배우들의 얘기다. 정우성이 사고 당시 찍고 있던 장면이 불과 이틀 뒤인 25일 방송분이었다는 사실은 이를 단적으로 입증한다.

여기에는 ‘쪽대본’ 요인도 빼놓을 수 없다. 한 지상파 방송사의 드라마 PD는 “워낙 대본이 늦게 나오다 보니 방송 당일까지도 초치기 촬영을 할 수밖에 없다.”고 고충을 털어놓았다. 그나마 간신히 나온 대본을 둘러싸고 배우와 감독의 의견이 엇갈리면 현장 상황은 더욱 열악해진다는 전언이다.

이는 배우들의 사고 위험과 직결된다. 대작 드라마가 많아지고 시청률 경쟁이 극심해지면서 비주얼에 대한 제작진의 욕심도 열악한 제작현실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제작 여건 개선을 요구하는 배우들의 공개 발언도 잇따르고 있다. 문근영은 지난 연말 ‘2010 KBS 연기대상’ 시상식에서 “스태프와 배우들의 고생이 조금이나마 보람되기 위해서는 드라마 제작 현장이 개선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우성도 최근 간담회에서 “한국 드라마가 잘나가는 현재 그 이면의 열악한 환경을 생각해 봐야 한다. 배우들이 피곤에 지쳐 연기하는 게 TV 화면에 보일 정도”라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목발 투혼’ 중인 박신양은 지난 19일 트위터에 “(밤샘이) 한국에서는 당연한 것인가. 불면불휴(不眠不休)로는 배우도 스태프도 지쳐 버린다. 이것이 당연했던 채로 좋니?”라는 냉소적 글을 올리기도 했다.

미니시리즈에 출연 중인 톱스타 A씨의 매니저는 “아무리 드라마가 ‘기다림의 예술’이라고는 하지만 며칠 밤을 잠 한 숨 못 자고 촬영한 뒤 곧바로 그 다음 대본 암기에 여념이 없는 배우들을 보면 정말 안쓰럽다.”면서 “이제는 한류 위상에 걸맞게 개선방안을 진지하게 모색할 때”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지상파 방송사 드라마국장은 “시간과 비용을 충분히 들이면 사고 위험이 줄어드는 것이 사실이지만 국내 여건이 그렇지 못하지 않으냐.”고 반문한 뒤 “현장의 돌발 사고에 대해 방송사도 늘 마음을 졸이는 만큼 배우, 작가, 제작진이 머리를 맞댈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이은주·김정은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